[취재수첩] ‘대중소 격차 심화’ 게임업계 어디로 가나
[디지털데일리 이대호기자] 2017년 2분기는 대중소 게임업체 간 격차가 눈에 띄게 벌어진 시기로 기억될 법하다. 넥슨과 넷마블게임즈는 지난 상반기 조단위 매출을 일궜지만 같은 기간 수백억 매출에 적자를 기록한 곳이 많다.
올해 3분기엔 리니지M의 성공으로 어닝 서프라이즈 수준의 실적 확대를 앞둔 엔씨소프트로 인해 빅3 체제가 더욱 공고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빅3와 그 외 업체간 체급차가 점점 좁히기 힘든 단계에 들어섬을 의미한다.
더욱이 올해 업계 전반을 보면 국내 개발작보다 외산 퍼블리싱 게임의 흥행 사례가 많아졌다. 이는 결국엔 국내 업체들의 이익률 악화로 이어진다. 우여곡절 끝에 성공하더라도 저작권자에게 로열티 수익을 넘겨줘야 하는 까닭이다.
그 와중에 중소 업체들의 성공 사례는 드물었고 2017년이 되자 유명 지식재산(IP)을 내세운 대형사들이 독무대가 만들어졌다.
이제 게임업계에선 ‘나올 수 있는 유명 IP는 다 나온 것 같다’는 얘기가 나온다. 마블, 트랜스포머 등에 이어 던전앤파이터, 리니지까지 게임화됐다. 올 하반기 여러 유명 IP 기반의 모바일게임이 나오지만 이전에 비해 무게감이 덜한 것이 사실이다.
앞으로 국내에서 리니지 모바일게임 만큼의 성공 사례가 나오기 쉽지 않다고 본다면 더 이상 판을 뒤집을만한 묘수가 없는 것이 사실이다. 대중소 업체 간 매출 격차가 심화 내지는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면 업체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을 노려야 하는데 지난 수년간 사례에서 봤듯이 녹록지 않다. PC온라인게임 시절과 달리 모바일게임 시대 들어선 국내 업체들이 예전만큼의 시장 경쟁력을 갖추지 못했다. 한수 아래로 보던 중국 업체들에게도 밀리는 형국이다.
게다가 국내 업체들의 중국 시장 진입은 거의 불가능한 반면 중국산 게임의 수입은 잇따르는 중이다.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해도 업계 전반이 퍼블리싱 수입으로 눈앞의 이익 극대화만을 노린다면 산업 경쟁력 약화는 불보듯 뻔하다. 진퇴양난의 상황이다.
국내 게임업계는 어디로 가는 것일까. 일부 업체는 사상 최대 실적을 거뒀다며 축포를 터뜨리고 있지만 다수 업체들은 쓴 입맛만 다시고 있다. 이대로 간다면 산업계가 환골탈태 수준의 변화를 거칠 수밖에 없다. 생존의 기로에 선 중소 업체들이 어떤 결단을 내릴지 주목된다. 자의반 타의반 변화의 방아쇠를 당길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
<이대호 기자>ldhdd@ddaily.co.kr
임종훈 대표, 한미사이언스 주식 105만주 매각… 상속세 납부 목적, 이면에 불가피한 속사정?
2024-11-15 18:04:20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이사회 의장직 내려놓겠다”… 삼성∙보잉 사례 참고했나
2024-11-15 17:19:23[DD퇴근길] 네이버 밴드, 美 MAU 600만 돌파…IT서비스업계, 연말인사 포인트는
2024-11-15 16:53:04비트코인이 불지른 가상화폐 ‘불장’… 금융당국, '이상거래' 모니터링 강화
2024-11-15 16: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