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비즈*솔루션

[대선 2025] AI 전력 어디서? ‘재생’ 이재명 vs ‘원전’ 김문수·이준석

오병훈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18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SBS 프리즘센터 스튜디오에서 열린 제21대 대선 1차 후보자 토론회에 참석해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18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SBS 프리즘센터 스튜디오에서 열린 제21대 대선 1차 후보자 토론회에 참석해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디지털데일리 오병훈기자] 21대 대선 주요 후보자들이 인공지능(AI) 산업의 중요성에는 한목소리를 냈지만, AI 개발·운영에 필수적인 전력 생산 방식을 두고는 입장 차를 드러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재생에너지 중심 발전 체계를 주장한 반면,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와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원자력 중심의 효율적인 에너지 공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18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개최한 TV대선토론에서 이재명 후보는 “장기적 성장 동력이 필요하며, 그 중심에 있는 AI 산업 투자를 늘려야 한다”며 “첨단 산업을 뒷받침해줄 재생에너지 대대적으로 키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AI 산업 확대는 막대한 전력을 요구한다. AI 모델 학습과 추론을 처리하는 데이터센터에는 고성 그래픽처리장치(GPU)를 대규모로 탑재하는데, 이 장비들이 발생시키는 냉각 장치 역시 상당한 전력을 소모한다. 이러한 특성으로 AI 정책과 에너지 정책 연계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이날 토론에서는 AI 시대 필요한 전력 인프라를 어떻게 확보할지를 두고 첨예한 대립을 보였다. 김문수 후보는 “AI 시대 전력과 인프라 확충, 에너지 도로망을 구축해야 한다”면서 “원전 산업 생태계 복원해 원전을 더 많이 노력해 전기 요금 낮추고 질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재명 후보가 제시한 재생에너지 확대 방안에 대해선 “탈원전을 지속하는 것은 비효율적 전력 체계를 고집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 후보는 “원전을 짓지 않고 어떻게 AI 3대 강국을 달성하겠다는 것이냐”며 “한국은 원전 강국으로, 안전 관련 기술 수준도 높다. 원전 지붕에 소형 원자폭탄이 떨어져도 안전하다는 말도 있다”며 이 후보 정책이 환경론자들 주장에 치우쳤다고 지적했다.

이준석 후보도 김문수 후보와 함께 이재명 후보 에너지 정책에 비판적인 시각을 내비쳤다. 그는 “탈원전 탈석탄 정책은 전기요금 급증으로 국민에게 부담을 안기고 있다”며 “풍력 발전 전기 가격과 원자력 전기 가격에서도 차이가 있는데, 일부 환경론자들에 휘둘려 국가 전략을 짜는 것 같아 우려된다”고 말했다.

실제 미국에서도 마이크로소프트(MS)와 아마존 등 주요 빅테크 기업들이 장기적 전력 확보 수단으로 원전 도입을 추진 중이다. 특히 MS에서는 자체 에너지 수급을 위해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에 대규모 자금을 투자하는 등 행보도 이어가고 있다. SMR은 원자로 부품을 공장에서 모듈 형태로 생산해 현장에서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차세대 발전소로, 안정성과 비용 효율 면에서 각국 주목을 받고 있다.

이재명 후보는 이 같은 비판에 대해 “당장 원전을 없애자는 것이 아니다”라며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에너지 생산 비율을 조정하되, SMR 등 안전하고 편리한 차세대 원전 기술에 대한 연구도 병행하자”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 “에너지 정책을 원전과 탈원전의 이분법으로 나누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토론 후반엔 이재명 후보 ‘AI 100조원 투자’ 공약을 두고도 논쟁이 이어졌다. 이준석 후보는 AI 100조 공약에서 세부적인 사용처가 불명확하다는 취지 공세를 이어갔다. 불명확한 계획은 실제로 실현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이재명 후보는 “100조원을 정부 재정으로 조성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연구개발을 위한 민간 자본을 유치해서 매해 순차적으로 투자금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라며 “연구개발 투자는 사안에 따라 면밀한 검토를 통해 진행돼야 하는 것이지, 당장 바로 사용처를 정하고 진행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반박했다.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해법에서도 후보들은 뚜렷한 입장차를 보였다. 이준석 후보와 김문수 후보는 ‘규제 개혁’을 전면에 내세웠다. 낡은 제도를 타파해 기업의 성장 여력을 높이겠다는 입장이다.

김문수 후보는 “규제혁신처를 만들어서 규제를 상시 관리하고, 불필요한 규제는 철폐 하겠다. 산업 클러스터를 지방마다 확장하고, 규제 없는 ‘규제 프리’ 도시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이준석 후보는 “많은 창업가들이 한국에서 등을 돌리고 실리콘밸리와 싱가포르 등 타국으로 가고 있는 상황”이라며 “글로벌 기준에 맞춰 규제 격차를 없애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는 국가경쟁력 제고 토론 순서에 ‘노동이 강한 나라’를 핵심 키워드로 제시했다. 그는 “우리는 지금까지 국가 경쟁력을 국내총생산(GDP)가 무역 규모를 중심으로 판단해왔지만, 노동자의 삶, 소상공인 삶은 여전히 팍팍하다”며 “국가 경쟁력 관점을 바꾸고, 노동이 강한 나라가 진짜 선진국이라는 생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병훈 기자
digimon@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