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2025] 이재명 ‘모두의 AI’ 꼬집은 이준석…“갈라파고스 우려”
[디지털데일리 오병훈기자] 21대 대선 첫번째 토론 초반부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가 AI 개발 정책 공약을 두고 설전을 벌였다.
이준석 후보는 이재명 후보의 ‘모두의AI’ ‘소버린AI’ 공약과 관련해 글로벌 시대에 맞지 않는 ‘갈라파고스’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이재명 후보는 한 국가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한 방안으로써 ‘소버린AI’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했다.
18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주관 TV대선토론에서 이준석 후보는 이재명 후보를 향해 “국가적으로 자체 AI를 구축하겠다는 공약이 실현되면, 세계적으로 전무후무한 일이 되겠지만, 결국에는 또 대한민국 IT 산업이, AI가 갈라파고스가 되는 거 아니냐 우려가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이재명 대표는 후보자 등록 이전부터 국가 자체 AI 개발 중요성을 강조하며 모두의AI, 소버린AI 키워드를 전면에 내세운 바 있다. 소버린AI는 각 국가 문화와 사회 역사 및 법 등에 특화된 AI로, 국가 데이터 주권 등 철학과 맞물려 떠오른 국가 AI 전략 방향 중 하나다. 데이터 학습부터 개발까지 중요한 AI 생태계를 국가 자체적인 역량으로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이준석 후보 지적에 이재명 후보는 “너무 비관적으로 보는 것 같은데, 지금 대부분 오픈AI의 챗GPT를 매월 22달러 가량 사용료를 지불하고 사용하는데, 국민들이 편안하게 전자계산기를 사용하듯이 챗GPT와 같은 AI를 무료로 쓸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재명 후보는 개발 방식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연구개발(R&D) 예산을 민간 기업과 연합을 해서 공동 개발을 하면 된다. 이후 운영 주체는 민간으로 하는 AI 모델을 만드는 것”이라며 “일각에서는 이를 위해 12조원 등 예산이 들어갈 것이라 주장하는데, 그 정도는 들어가지 않을 것이라 본다”고 말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소버린AI에 우려 목소리를 내기도 한다. AI가 단순히 한국가의 개발 역량만으로 개발되기보다는 그래픽터리장치(GPU), 데이터, 각종 언어모델(LM) 등 분야별로 글로벌 협력을 통해 만들어지기 때문에, 자칫 국내 역량만 고집하다가는 기술적으로 고립되는 ‘갈라파고스’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준석 후보는 “그런 방식으로 어떤 파운데이션AI가 개발될 수 있을지는 잘 모르겠다. (이재명 후보의 AI 공약과 관련해) 우려와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는 취지로 비판했다.
[대선 2025] 관세 해법 두 갈래…이재명 ‘유연’·김문수 ‘신속’ 대응론
2025-05-18 22:22:20[대선 2025] '커피원가 120원' 이재명, TV토론서 "2019년 수치" 해명
2025-05-18 22:21:28[대선 2025] "자영업자 빚 덜어줘야 vs 규제 풀어 숨통 틔워야"…해법 갈린 '민생 경제'
2025-05-18 22:21:08[대선 2025] 이재명 ‘모두의 AI’ 꼬집은 이준석…“갈라파고스 우려”
2025-05-18 22:20:46KT, 난청아동 위한 야구 체험행사…KT위즈파크 ‘드림투어’ 실시
2025-05-18 20:3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