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비즈*솔루션

"소버린AI는 데이터 주도권이 핵심"… 소신 밝힌 KT클라우드 최지웅 대표

권하영 기자
최지웅 KT클라우드 대표가 3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리는 ‘KT 클라우드 서밋 2025’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발언하고 있다. [Ⓒ 디지털데일리]
최지웅 KT클라우드 대표가 3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리는 ‘KT 클라우드 서밋 2025’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발언하고 있다. [Ⓒ 디지털데일리]

[디지털데일리 권하영기자] “소버린 AI의 핵심이 기술 국적보다는 데이터 주도권을 누가 가져가느냐에 있다고 보고 있다. 기술의 원산지가 문제가 되진 않는다.”

최지웅 KT클라우드 대표는 3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리는 ‘KT 클라우드 서밋 2025’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KT의 소버린 인공지능(AI) 전략에 대해 이 같이 밝혔다.

최 대표는 “결국에는 AI를 활용해 국민과 기업이 얼마나 실질적인 이익과 효과를 얻느냐를 가지고 접근해야 한다”며 “우리나라가 AI 강국으로 가려면 AI를 활용해 경제 활동이 활성화되고 이를 기반으로 전체적인 생산성이 국가 차원에서 올라가야 하는 건데, 특정 기술에 한정되면 그것이 어렵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는 최근 네이버클라우드가 쏘아올린 ‘소버린 AI’ 논쟁에 대한 KT클라우드의 입장이기도 하다. 앞서 네이버클라우드 김유원 대표는 지난 23일 개최된 자사 간담회에서 “외산 기술을 들여와 우리 것이라고 상표만 붙인 것을 소버린 AI라고 하는 건 언어도단”이라며 강하게 말한 바 있다. KT가 마이크로소프트(MS)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공동 개발한 소버린 AI를 국내 시장에 공급하겠다고 발표한 것을 겨냥한 발언이다.

최 대표는 그러나 “지금도 대부분이 글로벌 선진 기술을 활용해 생산성을 올리고 있고, 그러면 우리는 데이터에 대한 통제권이나 주도권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상황”이라며 “결국 산업이 집중하는 것은 기술이 아닌 데이터인데, 암호화 기술을 통해 데이터에 대한 부분을 우리가 보호해준다면 국가 이익 측면에서 더 효과적”이라고 했다.

이는 KT의 소버린 전략과 맞닿아 있는 설명이다. KT는 지난달 자사 AI 및 클라우드 전략 발표에서 소버린 클라우드가 갖춰야 할 네 가지 원칙으로 ▲국내 데이터 상주 ▲국내 법규 준수 ▲데이터 전 생애주기 보호 ▲고객 자원 소유권 강화를 내세운 바 있다. 인프라 운영과 보안 통제, 데이터 안전에 기반한 실용적 소버린 전략을 취한 것이다.

이와 함께 최 대표는 AI 시대 풀스택 클라우드 사업자로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준비를 마쳤다고 강조했다.

최 대표는 “2030년까지 국내 기준 1.5기가와트(GW) 규모의 상업용 데이터센터가 준비돼 있는데, 우리는 그 중 점유율을 25%까지 올리려고 한다”며 “다음달 29일이면 경북 CDC(Cloud DataCenter)를 오픈하게 되는데, 기존 KT클라우드가 가지고 있던 인프라가 아닌 완전히 새로운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이 기반이 된다”고 언급했다.

한편, KT클라우드는 이날 ‘KT 클라우드 서밋 2025’ 행사를 통해 국내 AI 및 클라우드 분야 전문가 1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사업 전략과 기술·서비스 성과를 공유할 예정이다. 행사는 최 대표의 기조연설을 비롯해 20개의 발표 세션 및 파트너사 전시로 구성됐다.

권하영 기자
kwonhy@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