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방송

과기정통부, SKT 침해사고 1차 조사결과 발표…"IMEI 유출은 없어"

강소현 기자
세종파이낸스센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세종파이낸스센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지털데일리 강소현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금번 SK텔레콤 침해사고 조사를 위해 구성한 민관합동조사단(이하 조사단)이후 1차 조사결과를 29일 발표했다.

조사단은 이번 침해사고를 통해 단말기 고유식별번호(IMEI) 유출이 없는 것을 확인했다. 즉, 현재 SK텔레콤이 시행 중인 유심보호서비스에 가입하는 경우 금번 유출된 정보로 유심을 복제하여 다른 휴대전화에 꽂아 불법적 행위를 하는 행위, 이른바 '심스와핑'이 방지됨을 확인했다.

조사단은 SK텔레콤이 공격을 받은 정황이 있는 3종·5대 서버들을 조사했다. 기타 중요정보들이 포함되어 있는 서버들에 대해 조사를 확대 중이다. 지금까지 SK텔레콤에서 유출된 정보를 확인한 결과 가입자 전화번호·가입자식별키(IMSI) 등 USIM 복제에 활용될 수 있는 4종과 USIM 정보 처리 등에 필요한 SK텔레콤 관리용 정보 등 21종이었다.

또, 조사단은 침해사고 조사 과정에서 침투에 사용된 BPFDoor 계열의 악성코드 4종을 발견했다. BPFDoor는 리눅스 운영체제(OS)에 내장된 네트워크 모니터링·필터기능을 수행하는 BPF(Berkeley Packet Filter)를 악용한 백도어(Backdoor)로, 은닉성이 높아 해커의 통신 내역을 탐지하기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과기정통부는 유심정보 유출로 인한 국민 불안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유심 교체와 더불어 유심 교체에 상응하는 예방 효과를 가진 유심보호 서비스 가입을 권장하고 있다. 또 보다 많은 국민들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유심보호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도록 예약시스템 도입 및 채널을 확대하도록 SK텔레콤에 촉구했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현재 예약제로 전환된 SK텔레콤의 유심보호서비스에 대해 예약신청·완료 시부터 서비스에 가입된 것과 동일하게 100% 사업자가 책임질 수 있도록 사업자와 협의를 마치고 즉시 시행하도록 하였다.

강소현 기자
ksh@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