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7개 지자체, 챗GPT 사용...AI 구독료 연 4억원 지출
[디지털데일리 최민지기자] 최근 1년간 전국 지자체가 챗GPT를 포함한 생성형 인공지능(AI) 프로그램 구독료에 4억원가량을 지출했다. 17개 지자체 모두 챗GPT를 사용하고 있고, 이 외에도 여러 AI 프로그램을 구독하고 있는 만큼, 보안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함께 제기됐다.
9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양부남 의원(더불어민주당)이 17개 시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올해 1월까지 지자체가 공무원 업무 지원 등을 위해 쓴 생성형AI 구독료는 총 3억9169만원이다.
지자체별로는 ▲제주 약 6871만원 ▲서울 약 5634만원 ▲경기 약 4675만원 ▲전남 약 4454만원 ▲충남 약 4313만원 순이다. 지자체별 생성형AI 이용자 수는 ▲충남 1274명 ▲강원 858명 ▲서울 440명 ▲대전 275명 순이다. 지자체 생성형AI 총 이용자 수는, 산출불가로 밝힌 경기도를 제외하면 3687명이다.
특히, 미국 오픈AI 생성형AI 서비스 '챗GPT'는 17개 시도 모두 사용하고 있었다. 오픈AI 대항마로 평가받는 AI 스타트업 앤스로픽의 '클로드', AI 이미지 서비스 '미드저니'는 각 5곳 지자체가 구독했다. 발표 작업물과 문서, 웹페이지를 자동 제작하는 '감마'는 4곳에서 이용하고 있었다.
또한, 음악 생성 AI '수노' , AI 기반 검색서비스 '퍼블렉시티', 텍스트 입력만으로 동영상 콘텐츠에 AI 음성을 합성할 수 있는 '네이버 클로바더빙', 동영상 압축서비스 '블루닷' 등도 구독하고 있었다.
중국 생성형AI '딥시크'는 구독 목록에 포함되지 않았다.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과 보안 논란으로, 중앙정부와 지자체 접속 차단이 이어졌기 때문이다.
양부남 의원은 "생성형AI 활용으로 업무 활용성이 높아지는 순기능이 있지만, 업무 외 용도에 대한 사용을 방지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며 "최근 딥시크 논란에서 보듯, 공공문서와 개인정보 유출을 막을 수 있는 철저한 관리와 보안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 생성AI 서비스 과정에서 개인정보와 외부에 공개되지 않아야 할 공공문서 등을 질의로 입력하는 사례 등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민감정보를 외부 생성AI 서비스에 입력할 경우, 서버에 저장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업무별 가이드라인을 배포할 계획이다.
"보안SW 개발자 양성" KISIA, 2025년 'S-개발자' 3기 발대식 개최
2025-04-01 11:29:35여의도 입성한 카카오페이증권…"IB·채권 등 신사업 강화"
2025-04-01 11:22:59스푼, 2025년 1분기 우수 크리에이터 '이달의 DJ' 발표
2025-04-01 11:17:18KT, 삼성전자와 AI 가전구독 서비스 출시…통신업계 최초
2025-04-01 11:07:15유상임 장관, 백악관 과기정책실장과 화상통화…"협력 강조"
2025-04-01 11: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