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섭 롯데에머 "ESS 결국 NCM 아닌 LFP…밀도 향상에 동박 더 얇아져야" [인터배터리 유럽 24]
[디지털데일리 배태용 기자] 김연섭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대표가 ESS(에너지저장장치) 시장에서도 하이엔드 동박을 채택하는 사례가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연섭 대표는 20일(현지시간) 독일 뮌헨에서 열린 '인터배터리 유럽 2024'에서 열린 현장 기자간담회에서 "일부 배터리사는 삼원계 NCM(니켈⋅코발트⋅망간)을 채택하고 있지만, ESS는 결국 LFP로 갈 수밖에 없을 것이다"라며 "LFP를 하는 순간 동박은 얇아져야 한다"라며 라고 강조했다.
LFP 배터리는 NCM 배터리 대비 낮은 에너지 밀도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양의 활물질을 전극에 도포해야 한다. 이는 얇은 동박 사용 없이는 불가능하기 때문. 얇은 동박은 기존 동박 대비 더 많은 공간을 확보해 전극에 도포할 수 있는 활물질의 양을 늘려 에너지 밀도를 향상한다.
LFP도 기술의 발전에 따라 더 많은 에너지 밀도를 요구하는 고객들이 많아질 것이고, 이렇게 될 경우 얇고 강한 동박 니즈가 증가할 수밖에 없다는 게 김 대표의 설명이다.
김 대표는 "박이 더 얇으면은 더 약하게 돼 더 얇으면서 강성을 유지해야 하고 이러려면 결국은 LFP 배터리는 하이엔드를 요구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라고 설명했다.
네이버페이, 한국신용정보원-NICE평가정보와 ‘금융권 데이터 활용’ 맞손
2025-04-16 10:17:58두나무, '업비트 데이터 랩' 출시…"가상자산 투자자에 합리적 의사결정 지원"
2025-04-16 10:12:50LG전자, 중국 소재 박람회서 '퓨로텍' 소개…글로벌 B2B 공략
2025-04-16 10:00:00KT ‘미디어뉴웨이’ 전략 시동…콘텐츠 제작·유통·플랫폼 AX 집중
2025-04-16 1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