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섭 롯데에머 "ESS 결국 NCM 아닌 LFP…밀도 향상에 동박 더 얇아져야" [인터배터리 유럽 24]
[디지털데일리 배태용 기자] 김연섭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대표가 ESS(에너지저장장치) 시장에서도 하이엔드 동박을 채택하는 사례가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연섭 대표는 20일(현지시간) 독일 뮌헨에서 열린 '인터배터리 유럽 2024'에서 열린 현장 기자간담회에서 "일부 배터리사는 삼원계 NCM(니켈⋅코발트⋅망간)을 채택하고 있지만, ESS는 결국 LFP로 갈 수밖에 없을 것이다"라며 "LFP를 하는 순간 동박은 얇아져야 한다"라며 라고 강조했다.
LFP 배터리는 NCM 배터리 대비 낮은 에너지 밀도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양의 활물질을 전극에 도포해야 한다. 이는 얇은 동박 사용 없이는 불가능하기 때문. 얇은 동박은 기존 동박 대비 더 많은 공간을 확보해 전극에 도포할 수 있는 활물질의 양을 늘려 에너지 밀도를 향상한다.
LFP도 기술의 발전에 따라 더 많은 에너지 밀도를 요구하는 고객들이 많아질 것이고, 이렇게 될 경우 얇고 강한 동박 니즈가 증가할 수밖에 없다는 게 김 대표의 설명이다.
김 대표는 "박이 더 얇으면은 더 약하게 돼 더 얇으면서 강성을 유지해야 하고 이러려면 결국은 LFP 배터리는 하이엔드를 요구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라고 설명했다.
“AI·클라우드 잡아라”…공공SW 시장에 돌아온 대기업SI들
2025-02-24 06:00:00"스터디그룹·선의의 경쟁 봤지?"…와이랩, 이제는 '넷플릭스'다
2025-02-23 16:48:11통신3사, MWC25서 'AI 각축전' 예고…유상임 장관 깜짝 회동할까
2025-02-23 14:57:14“비트코인, 시장 변동성 지속… UAE 국부펀드가 비트코인 ETF 매수”
2025-02-23 12:2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