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먹통 후 ‘안정성’ 대두…배민·당근마켓도 ‘셧다운’ 대비
[디지털데일리 이안나 기자] 지난 15일 SK C&C 판교 데이터센터(IDC) 화재로 발생한 ‘카카오 먹통’ 사태 재발방지를 위해 국내외 플랫폼·데이터센터 기업이 정부와 만났다. 화재사고 이후 플랫폼 안정성 확보 중요성이 떠오른 만큼, 법 제도 개선 등 핵심 요소들을 갖춰 재난재해와 같은 피해를 막는다는 목표다.
21일 과기정통부는 박윤규 제2차관 주재로 ‘국내 부가통신사업자 서비스 안정성 긴급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박 차관은 국내에서 국민 생활과 밀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부가통신사업자들과 장애상황 보호조치를 점검하고 안정적 서비스 제공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구글 ▲넷플릭스 ▲메타 ▲우아한형제들 ▲당근마켓 ▲아마존웹서비스(AWS) ▲GS네오텍 등이 참석했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장애발생 이후 방송통신재난대책본부 차원에서 점검하고 있어 참여하지 않았다.
박 차관은 “다행히 오늘자로 중단된 서비스가 정상화됐지만, 여기까지 근 일주일 정도 소요됐다는 사실을 뼈아프게 인식했으면 좋겠다”며 “앞으로 이같은 불행한 사건이 재발되지 않도록 업계·전문가들과 치열하게 고민하면서 기술적·제도적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데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전력 차단, 화재 등 유사시에 대비한 서버 이중화, 트래픽 분산 등 안정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운영‧관리 현황을 공유했다. 각 사업자들은 서버 분산화·다중화를 통해 장애사태에 대비하고 있으며 재난훈련도 병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 카카오 장애 사고처럼 대규모 ‘셧다운’ 할 경우 방안에 대해선 클라우드 활용 등 대비를 하고 있지만 개선할 점도 찾기로 했다.
[이음5G 현황下] 확산 한계치 도달?...“DX본격화 되면, 수요 급증” 전망도
2025-04-04 19:46:29법원, 방통위의 KBS 신임감사 집행정지 신청 ‘기각’
2025-04-04 19:41:00엔시티 위시, 엠넷플러스 '숨바꼭질' 두번째 플레이어로 출격
2025-04-04 17:44:41[DD퇴근길] 윤석열 대통령 파면…ICT·산업계 미칠 영향은?
2025-04-04 17:16:48[윤석열 파면] '탄핵 기념 정식' 인증샷 급증…中 포털서는 실시간 검색어 1위도
2025-04-04 16:4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