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우 사태→日·臺 지진→中 상하이 봉쇄…반도체·전기차 공급망 '빨간불'
- 장기화 시 韓 기업 손실 불가피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연이은 자연재해로 반도체 및 전기차 생태계가 흔들리고 있다. 코로나19 국면 장기화에 따른 공급망 차질이 여전한 가운데 설상가상이다.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단기간 내 해결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27일(현지시각) 중국 상하이 정부는 코로나19 재확산 방지 차원에서 시민 전수조사 등 도시 봉쇄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경제적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시행할 방침이다.
상하이는 중국의 경제 수도로 불린다. 금융, 제조, 무역 분야 중심지다. 봉쇄 시 중국은 물론 전 세계가 영향권에 드는 지역이다.
상하이에 자리 잡은 대표적인 기업은 미국 테슬라다. ‘모델3’와 ‘모델Y’ 등 주력 전기차를 생산하는 기가팩토리를 두고 있다. 이곳에서 작년 테슬라 전기차 생산량 절반을 책임졌다.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테슬라는 28일 상하이 기가팩토리 가동을 중단하기로 했다. 재개 시점은 미정이다. 미국 제너럴모터스(GM)도 완성차 공장을 운영 중이다. 아직 가동되고 있으나 폐쇄 기간이 길어지면 생산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중국 반도체 수탁생산(파운드리) 업체 SMIC와 화홍 등도 직격탄이다. 양사는 본사가 상하이다. 인근 지역인 장수성에 공장이 있다. 반도체 생산이 중단될 수 있다는 의미다.
상하이에는 양산 컨테이너항과 푸동 국제공항도 있다. 아직 폐쇄까지 이어지지는 않았으나 현실화하면 무역 관련 피해가 불가피하다.
[툰설툰설] 야구의 계절이 돌아왔다…'기프트' vs '리듬 앤 베이스볼'
2025-04-06 14:06:37삼성, 산불 피해 주민에 10억원 상당 가전제품 추가 지원
2025-04-06 13:00:00SKT, AI 학습데이터 확보 온힘...’그랜드데이터’ 협력사 확장
2025-04-06 12:25:32’독점공개’ 전략 접은 KT…“OTT에도 지니TV 오리지널 콘텐츠 공급”
2025-04-06 12:20:00신한카드, 데이터 비즈니스 지속 확장… '그랜데이터'에 카카오모빌리티·이마트도 합류
2025-04-06 11:3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