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물리스크①] 러시아 제재에 니켈 가격 '폭등'…배터리 업계 초비상
- 러시아, 니켈·알루미늄 등 ‘원료 무기화’ 가능성 제기
- 전기차 시장 원가 부담 ‘도미노 상승’ 우려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원자재 쇼크’가 발발했다. 전 세계 니켈 물량의 약 10%를 담당하는 러시아가 전쟁에 나서면서 조달 차질이 불가피해진 영향이다. 미국 주도 에너지 수출 제재 본격화 시 러시아가 보복 조치로 주요 광물 공급을 제한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배터리 생태계에 빨간불이 켜졌다.
8일(현지시각) 런던금속거래소(LME)에 따르면 니켈값은 한때 전장 대비 111% 급등해 역대 최고가인 톤당 10만1365달러까지 치솟았다. 니켈 선물 가격은 이틀 만에 131% 오름세를 나타내기도 했다.
전례 없는 증가세에 LME은 니켈 거래를 중단시켰다. LME은 지난 7일 장 마감 이후부터 거래 정지 전까지 이뤄진 계약을 조정하거나 취소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니켈은 배터리 원가 50% 내외를 차지하는 양극재 핵심 원료다.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가 주로 쓰는 양극재는 니켈·코발트·망간(NCM) 또는 니켈·코발트·알루미늄(NCA) 조합이다. 이중 니켈 함량이 높을수록 배터리 에너지 밀도가 높아진다. 국내 3사는 니켈을 90% 이상 함유한 양극재를 배터리에 적용하는 등 니켈 사용량이 급증하는 추세다. 이에 작년 니켈 몸값은 전년대비 2배 이상 뛰었다.
이미 상향된 니켈 가격은 러시아 사태로 재차 폭등할 전망이다.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이 러시아 경제 제재에 동참한 데 이어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중단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카카오엔터 매각한다는 카카오, SM엔터까지? [IT클로즈업]
2025-04-09 11:47:38카카오엔터, 사모펀드에 매각 추진하나…노조 "공공성 위협 우려"
2025-04-09 11:22:46맞으면 더 세게 받아치는 美 트럼프…對中 관세 104%로 인상
2025-04-09 11:22:06타이거리서치, 곰블 게임즈 분석 보고서 발간… "하이퍼캐주얼 게임으로 웹3 산업 대중화 선도"
2025-04-09 11:19:05'관세'걱정없는 4대 금융… 올해 1분기 순이익 5조원 육박할 듯
2025-04-09 11:1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