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빅블러시대] 포인트부터 결제까지, 커머스도 가상자산으로 통한다
빅블러는 변화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존재하던 것들의 경계가 뒤섞이는 현상을 뜻한다. 코로나19 팬데믹 확산과 디지털 전환 가속화로 전 세계에서 산업 간 경계가 허물어지는 빅블러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게임 룰이 바뀌고, 산업을 주도하는 기업이 달라지고, 비즈니스 영역 구분이 모호해졌다. 한국도 이에 빠르게 대응해 빅블러 시대 글로벌 주도권을 선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 <디지털데일리>는 2022년 임인년을 새해를 맞아 IT 기업들의 합종연횡·신시장 개척 등 위기 대응 전략을 살펴보고 변화에 대응하는 모습을 조명한다. <편집자주>
[디지털데일리 박현영기자] 투자 자산으로만 여겨졌던 가상자산이 최근 커머스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가상자산은 가격 변동성으로 인해 결제수단으로 쓰일 수 없을 것이란 지적이 많았지만, 커머스 기업들은 잇따라 결제수단으로 가상자산을 도입하는 추세다.
이에 더해 자사 포인트를 가상자산으로 전환하는 기업들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커머스 업계에서 가상자산이 혁신 사례 중 하나로 자리 잡아가는 모습이다.
◆'할인율' 장점으로 '가격변동성' 단점 극복…보편화된 가상자산 결제
[주간 클라우드 동향/5월②] 중국發 오픈소스 추론 AI 공세 본격화
2025-05-12 07:58:20'온라인 대출 비교·추천' 알고리즘 문제점 노출… 금감원 "소비자 선택권 침해시 엄정 대응" 경고
2025-05-11 20:20:12카드론·캐피탈·대부업체 비대면 대출도 '이용자 본인확인조치' 의무화
2025-05-11 19:41:14[네카오는 지금] 1분기 엇갈린 성적표…AI 전략으로 반전 노린다
2025-05-11 15:07:16“해외서도 응급의료 상담 가능”…LGU+, 소방청과 '안전·연결' 캠페인 진행
2025-05-11 12: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