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윤상호기자] 정부가 소재·부품·장비(소부장) 2.0 전략을 구체화했다. 소부장 경쟁력강화위원회를 개최했다. 연구개발(R&D) 지원책을 확정했다.
1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은 ‘소부장 R&D 고도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기술 자립 및 고도화가 핵심이다. 2022년까지 7조원 이상을 투자한다.
소부장 R&D는 일본 수출규제 대처에서 글로벌 공급망 재편 대응으로 확장했다. 현재 공급망 안정은 물론 향후 세계 시장 진출을 고려했다. 핵심품목 238개 중 85개를 추가로 도출했다. 미래선도품목은 산·학·연·관 테스크포스(TF) 구성해 발굴할 계획이다.
연구장비는 신속 구매절차(패스트 트랙)를 도입한다. 과제 참여·평가 기준은 완화했다. 일반적인 구매가 어려운 특수 장비는 일반적 공공입찰 절차에서 예외를 둔다. 부처간 이어달리기 트랙을 신설했다. 장기연구 및 기술축적을 위한 오래달리기 프로그램도 만든다.
소재 단독 개발을 소재 공정 시스템을 묶어 개발하는 산학연 융합연구단을 구성했다. 공급기업 연구비 매칭 부담 기준을 완화했다. 대중견기업은 25% 이상 중소기업은 20% 이상으로 조정했다.
연구 생태계 조성에도 힘을 쏟는다. 국가연구인프라 기능을 강화한다. 소부장 지역거점 및 글로벌 협력을 늘린다. 창원에는 첨단소재 실증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반도체·이차전지 중대형 실증 인프라를 확충한다. 인력 양성은 선취업 후진학 방식을 운영한다. 소부장 계약학과를 지속 개설할 예정이다.
한편 정부는 지적재산권과 희소금속 무기화 대책도 수립할 방침이다. R&D 지원을 강화한다. 또 소부장 기술특별위원회와 특정평가를 통해 진행상황 등을 점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