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정책, 다각적·실증적 연구가 뒷받침돼야”
- 일방적 규제정책에 머물러…청소년 의견은 배제돼
- 실증적인 연구 진행돼야…교육계·산업계가 관심을 가져야
[디지털데일리 이대호기자] 게임의 사회적 가치와 문화정책에 대해 의견을 교류하는 자리가 마련돼 주목을 끌었다.
21일 게임문화재단(이사장 김종민)은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진행된 ‘나는 게임이다’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심포지엄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정부의 게임 규제정책에 초점이 모아졌다. 규제 시행에 앞서 연구가 뒷받침돼야 한다는 주장이 잇따른 것이다.
대부분 '일방적인 규제'라는 얘기가 많았다. 또 게임을 일상과 분리해 볼 것이 아니라 일상에 스며든 문화로, 새로운 미디어로 접근해서 연구가 진행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었다.
첫 발표에 나선 정소연 문화연대 대안문화센터 팀장은 “일방적인 규제보다 다각적이고 전문적 연구를 통한 게임의 긍정적 기능을 강화하고 청소년 문화로서의 접근이 필요하다”며 “청소년과 공유할 수 있는 부분을 넓혀가는 것이 게임정책에서 시급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정 팀장은 “정부가 게임과몰입 예방 정책만 생산하고 있는데 게임을 건전하게 즐기고 있는 대다수의 이용자를 위해 긍정적 이용 논의가 활성화돼야 한다”고 현 정부의 규제정책을 지적했다.
또 그는 “게임문화 정책에서 청소년 의견수렴 과정이 배제된 것도 문제”라며 “청소년을 소외한 채 진행된다는 우려가 제기되는데 청소년의 문화향유권과 접근권 결정권이 침해당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라고 꼬집었다.
이광석 서울과학기술대 IT정책전문대학원 교수는 “60년 이상 미디어학자들이 매체폭력이 인간 이성과 행동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했지만 결정된 것은 아무것도 없다”며 “사전에 효과가 분명히 있고 국민정서상 논의가 진척된 후에 정책 결정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게임을 문화적 측면에서 접근해 실증적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동연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는 “문화로써의 게임연구가 필요하다”며 “실제 객관적이고 실증을 하는 장기간의 연구가 한국에서는 한 번도 없었다. 한국게임업계의 연구의 빈약성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교육계와 문화계 산업계가 연구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당부했다.
윤대진 연세대 커뮤니케이션대학원 교수는 게임이 일상과 섞여 따로 분리해 볼 것이 아니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윤 교수는 “미디어환경이 변하고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가 발달하면서 게임이 매체가 되고 게임을 통해 사회관계를 만들고 있다”며 “게임 개념 자체의 혁명을 보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게임 연구에 관심을 갖고 문화적 의미를 갖고 보는 학자와 연구자의 시각도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대호 기자>ldhdd@ddaily.co.kr
[현장] 유영상 SKT 대표 "엔비디아 H200, 3월 도입"
2025-01-22 18:48:57[DD퇴근길] 미성년자, 밤 10시부터 인스타 금지…넷플릭스, '오겜2' 효과 톡
2025-01-22 18:07:46김태규 직무대행 "방송산업 위기, 규제 혁신·협업으로 돌파"
2025-01-22 18:07:22LG CNS 일반청약에 증거금 21조원 몰렸다…상장 흥행 신호탄
2025-01-22 17:47:35바이트댄스, 틱톡 위기에도 AI 올인 '17조원 투자'
2025-01-22 17:4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