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프린팅/디바이스

트럼프, “애플 인도 생산 확대 중단하라” 압박… 애플, 공급망 재편 '암울'

김문기 기자
[사진=생성형 AI 제작]
[사진=생성형 AI 제작]

[디지털데일리 김문기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애플의 인도 내 생산 확대에 강한 불만을 드러내며, 자국 내 제조를 확대하라고 직접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발언은 애플이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 인도에서의 생산을 강화하는 전략에 변곡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15일(현지시간) 외신 블룸버그와 맥루머스 등 주요 IT전문매체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행사에서 팀 쿡 애플 CEO와의 대화를 언급하며 중국 공장에 이어 인도에 비슷한 공장을 짓는 것에 대해서 알 수 없다며, 미국에 공장을 지어야 한다는 발언을 이어갔다고 전했다. 또한 미국 내 생산을 늘릴 것이라는 의지 역시 표명했다.

이같은 압박은 애플이 중국의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인도에서 생산을 확대해온 흐름을 역행하는 발언이다. 최근 애플의 인도 내 아이폰 생산 규모는 약 220억달러로 전년 대비 60% 이상 증가했다. 현재 전 세계 아이폰 생산량의 20% 가까이가 인도에서 이뤄지고 있다. 특히 폭스콘, 타타, 페가트론 등 주요 협력사가 인도 내 생산거점을 확대하며 미국 시장을 위한 생산량을 인도에서 충당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 같은 전략을 '관세 회피용 우회 생산'으로 간주하며 불쾌감을 드러낸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미국이 애플에 특혜를 줬고, 애플은 이제 미국 내 생산을 늘려야 할 때라 주장하기도 했다. 실제로 애플은 미국 내 인프라 투자 확대를 약속하고 있으며, 향후 4년간 5000억달러를 미국 내 생산과 연구개발, 데이터센터 및 서버 공장 등에 투입할 계획이다. 텍사스 내 고급 서버 공장 건설도 올해 본격화될 예정이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은 애플의 공급망 다변화 전략을 흔들 수 있는 메시지로 받아들여진다. 애플은 베트남에서도 맥북과 에어팟 생산을 확대하며 지역 다변화를 추진 중이나, 미국 내에서 아이폰을 전면 생산하기에는 인프라와 인건비, 부품 조달 문제 등 현실적인 장벽이 크다. 일각에서는 미국산 아이폰이 출시될 경우 기본 가격이 3000달러를 넘을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애플은 최근 관세 회피를 위해 인도에서 생산한 아이폰을 미국으로 긴급 공수하는 ‘선적 앞당기기(build-ahead)’ 전략까지 사용하고 있으나, 향후 90일간의 미중 관세 유예 조치가 종료된 이후 상황은 여전히 불확실하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의 공개 발언이 애플의 공급망 전략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지는 아직 미지수지만, 미중 갈등, 관세 불확실성, 그리고 미 정부의 국내 제조 압박이라는 삼중고 속에서 애플의 행보는 한층 더 복잡해질 것으로 보인다.

김문기 기자
moon@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