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 미래에셋증권 AIOps 완수…금융권 AX 시장 주도권 확보
[디지털데일리 권하영기자] LG CNS가 최근 미래에셋증권의 인공지능(AI) 플랫폼을 성공적으로 구축하며 금융권 AX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LG CNS는 지난해 11월부터 진행해온 미래에셋증권의 ‘AIOps(AI Operations) 플랫폼 구축’ 사업을 최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AIOps는 AI 기술을 기반으로 IT 운영을 자동화하는 것으로, 별도 서버 인프라 구축 없이 AI 모델을 개발·배포할 수 있는 가상 환경을 제공한다.
이번에 구축된 AIOps 플랫폼은 미래에셋증권 임직원들은 내부 데이터를 대규모언어모델(LLM)이나 머신러닝·딥러닝(ML·DL) 같은 AI 모델에 학습시켜 최적화하고 이를 실제 업무와 대고객서비스 운영에 적용할 수 있게 지원한다. 기업의 LLM 학습과 운영에 필수적인 LLMOps와 MLOps를 하나로 통합해 구현한 것이 핵심이다.
이를 통해 미래에셋증권 임직원들은 AI 모델에 내부 데이터를 학습시켜 반복 업무를 자동 수행하는 AI 어시스턴트(Assistant)를 만들어 활용하거나, 사내 방대한 데이터를 AI로 분석해 새로운 비즈니스 인사이트틀 얻는 등 업무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내외 자산을 담은 금융상품을 운영하는 부서라면, 자산의 가격현황·시장금리·주요뉴스 등에 관한 리포트 발행을 AIOps를 통해 할 수 있다.
이러한 AI 개발과 운영은 전문 개발자가 아니어도 가능하다. AI가 실시간으로 코딩을 보조해주는 ‘코드 어시스턴트’ 기능을 적용한 덕에, 직원이 파이썬 코드를 작성할 때 AI의 도움을 받아 손쉽게 자동화 스크립트를 만들고 오류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이 모든 작업은 ‘가상 환경’에서 이뤄진다는 점에서 이점을 가진다. 여기서 가상 환경이란 서버·네트워크 등 인프라와 완벽히 분리된 가상화된 영역에서 AI 모델을 개발·운영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한다. 만일 가상 환경이 아닌 실제 서버에서 AI 모델을 개발하거나 운영하는 경우, 하나의 모델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서버 전체를 셧다운시켜 비즈니스 전체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수도 있다.
하지만 임직원들은 AI 플랫폼을 활용해 몇 가지 설정 값을 입력하는 것만으로도 손쉽게 가상 환경을 구축할 수 있으며,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개발을 마친 AI 모델은 플랫폼을 통해 실제 서비스 운영에도 빠르게 적용된다.
AI 도입에 따른 규제 대응도 강화됐다. 고객의 민감한 데이터를 다루는 금융업은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등에서 규정하는 규제와 가이드라인에 대한 준수가 필수적이다. 이에 LG CNS는 ‘AI기본법’ ‘금융분야 AI 가이드라인’ ‘금융 AI 보안 가이드라인’ 등 국내외 다양한 AI 가이드라인과 법률을 검토, 이를 실제 업무와 연계해 활용할 수 있도록 AI 도입·개발·활용에 관한 거버넌스 체계를 만들어 AIOps 플랫폼에 적용했다.
LG CNS는 최근 금융 분야 AX 레퍼런스를 누적하며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 ▲AI·클라우드 기반의 미래에셋생명 차세대 시스템 구축 ▲신한은행 ‘AI 브랜치’ 개발 ▲신한카드와 NH농협은행의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 ▲KB금융그룹 미래형 고객센터 구축 고도화 등 다양한 금융권 AX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LG CNS는 생성형 AI를 도입하고자 하는 금융 기업을 위해 금융 맞춤형 AI 평가 도구도 개발했다.
LG CNS 관계자는 “AIOps 플랫폼 구축을 통해 미래에셋증권이 AI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비즈니스를 혁신하고, 고객이 차별화된 서비스를 경험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DD퇴근길] KT, 미디어사업 전략 수정…"공격적으로 AI 접목"
2025-04-16 16:53:56인터넷전문은행 3사, '주담대' 경쟁 격화 예고… 토스뱅크, 내년 '주담대' 출시 공식화
2025-04-16 15:50:35[인터뷰] 삼성SDS "양자컴 상용화 시점 중요치 않다…보안위협 PQC로 극복"
2025-04-16 15:3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