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온 상승에 ‘일본뇌염 모기’ 조기 출현...전국 주의보 발령
[디지털데일리 이안나기자] 질병관리청은 일본뇌염(제3급 법정 감염병)을 전파하는 '작은빨간집모기'가 올해 처음 제주특별자치도와 전라남도에서 확인됨에 따라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했다.
27일 질병청에 따르면 제주와 전남 지역에서 지난 24일부터 26일 사이 채집된 모기 42마리 중 10마리가 작은빨간집모기인 것으로 판명됐다.
이는 지난해 첫 발견일(3월 30일)보다 3일 앞당겨진 것으로, 전문가들은 제주 및 완도 지역 평균 기온이 작년 대비 6.2도 상승한 점이 모기 활동 시기를 앞당긴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암갈색의 소형 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는 주로 논, 축사, 웅덩이 등에 서식하며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한다. 이 모기는 3월 말부터 출현하기 시작해 8~9월에 최대 활동량을 보인다.
일본뇌염 감염 모기에 물린 후에는 5~15일 잠복기를 거쳐 증상이 나타난다. 대부분 감염자는 무증상이거나 발열, 두통 등 경미한 증세를 보이지만, 드물게 중증 뇌염으로 진행될 경우 고열, 발작, 착란, 경련, 마비 등의 심각한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질병청은 일본뇌염 예방을 위한 백신 접종을 권장하고 있다. 특히 2012년 이후 출생자에게는 국가예방접종을 통해 백신 접종을 지원하고 있으며, 접종 가능한 의료기관은 '예방접종도우미'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과거에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받은 적이 없는 18세 이상 성인 중 ▲논이나 돼지 축사 인근에 거주하는 경우 ▲일본뇌염 전파 시기에 위험 지역에서 활동 예정인 경우 ▲비유행 지역에서 이주해 국내에 장기 거주할 외국인 ▲일본뇌염 위험 국가(인도, 인도네시아, 라오스, 필리핀, 태국, 베트남, 중국, 일본 등)를 여행할 계획이 있는 경우에도 백신 접종이 권장된다.
질병청은 모기 물림 예방을 위해 모기가 활발히 활동하는 4~10월 야간에는 야외 활동을 자제하고, 불가피한 외출 시에는 밝은색 긴 옷을 착용하며 노출된 피부에는 모기 기피제를 사용할 것을 권고했다.
[대선 2025] AI 전력 어디서? ‘재생’ 이재명 vs ‘원전’ 김문수·이준석
2025-05-19 04:50:16[대선 2025] 관세 해법 두 갈래…이재명 ‘유연’·김문수 ‘신속’ 대응론
2025-05-18 22:22:20[대선 2025] '커피원가 120원' 이재명, TV토론서 "2019년 수치" 해명
2025-05-18 22:21:28[대선 2025] "자영업자 빚 덜어줘야 vs 규제 풀어 숨통 틔워야"…해법 갈린 '민생 경제'
2025-05-18 22:21:08[대선 2025] 이재명 ‘모두의 AI’ 꼬집은 이준석…“갈라파고스 우려”
2025-05-18 22:20: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