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AI 데이터센터 테스트베드'가 특별한 이유는
[디지털데일리 채성오기자] "앞서 말씀드린 최첨단 솔루션을 미리 보실 수 있는 곳이 바로 판교 AI 데이터센터 테스트베드입니다. 이곳엔 최신 AI 반도체와 GPU 성능을 높여주는 가상화 기술이 접목될 것입니다. 또한 AI 기반 에너지 관련 관리 솔루션과 액침 냉각을 포함한 차세대 냉각법이 모두 구현된 국내 최초의 테스트베드가 될 것입니다. 다가오는 12월에 오픈할 예정이니 판교에 오셔서 AI 데이터센터의 미래를 경험해 보시기 바랍니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4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4' 현장에서 이와 같이 말했다. 이날 유영상 대표는 ▲AI데이터센터 ▲GPU 클라우드 서비스(GPUaaS) ▲에지AI(Edge AI) 등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 구축 계획을 통해 SK그룹의 AI 혁신 청사진을 공개했다.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 플랜의 중심축은 'AIDC'다. SKT는 국내 지역 거점에 100MW(메가와트) 이상의 전력이 필요한 하이퍼 스케일 AIDC를 시작으로 향후 그 규모를 GW(기가와트)급 이상으로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AIDC 허브'로 도약한다는 구상을 밝혔다.
SKT는 중장기적으로 GW급 AIDC를 통해 ▲50조원 이상의 신규 투자 유치 ▲55만명 이상의 고용 창출 ▲175조원 이상의 경제 효과 ▲지역에서의 AI 첨단산업 육성이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SKT는 SK그룹의 역량과 파트너사가 보유한 다양한 솔루션이 결집된 AIDC 테스트베드를 오는 12월 경기도 성남시 판교 지역에 오픈할 계획이다. 엔비디아 최신칩과 하이닉스 HBM 등 첨단 AI반도체와 차세대 액체 냉각 솔루션 3종을 비롯 GPU 가상화 솔루션, AI 에너지 최적화 기술 등이 모두 구현된 국내 유일의 테스트베드로서 미래형 AIDC의 모습을 미리 만나볼 수 있다.
유 대표는 "아시아 태평양 데이터센터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가운데 글로벌 빅테크의 대규모 투자 역시 잇따르고 있다"며 "저희는 시장의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 지역 거점에 대규모 AI 데이터센터를 빠르게 구축하고 SK 파트너사의 솔루션을 통한 차별적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운을 뗐다.
다만 국내 시장을 살펴보면 수도권 전력 부족에 따라서 대규모의 데이터센터를 수도권에 짓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환경이다. SK텔레콤은 이런 환경에서도 지역이 가진 인프라의 강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대규모의 부지 및 전력을 빠르게 확보하는 한편 지역에 위치한 신재생 에너지 인프라를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여기에 해저케이블 같은 글로벌 통신 네트워크의 확보 여부도 적극 고려하는 한편 SK하이닉스의 고대역폭메모리(HBM), 저탄소 LNG 발전·SMR·연료 전지 등 친환경 에너지 솔루션, AI로 최적화한 운영 등 데이터센터 솔루션을 통합 패키지로 저렴하면서도 효율적인 데이터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유 대표는 설명했다.
이 외에도 SK텔레콤은 수도권에 위치한 '가산 데이터센터'를 AIDC로 전환해 클라우드 형태로 GPU를 제공하는 'GPU 클라우드 서비스(GPUaaS·GPU 애저)'를 선보일 계획이다. 이를 위해 SK텔레콤은 미국 '람다'와 협력해 다음달 중 H100 기반의 GPU 애저를 시작하는 한편 내년 3월에 국내 최초로 H200을 도입할 예정이다.
유 대표는 "많은 기업들이 AI를 즉각 도입하고 싶어 하지만 인프라 부족과 비용 부담으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며 "이러한 문제를 SK가 GPU 애저 서비스를 통해 해결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해 최신 GPU를 적게 공급하고 독자 기술을 활용한 한국형 소버린 AI를 구축해 국내 AI 생태계를 활성화시킬 계획"이라며"저희 서비스는 기존 클라우드 대비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되지만 추론 속도는 3배 이상 더 빠르며 통신사업자로서 역량을 살려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SK텔레콤은 전국에 연결된 통신 인프라를 활용해 AIDC와 온디바이스 AI 사이 간극을 메꿀 수 있는 '에지 AI'를 도입할 예정이다.
에지AI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AI 컴퓨팅을 결합한 인프라다. 대규모 AI DC 대비 저지연,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강화 측면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온디바이스AI 대비 대규모 AI 연산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기존 AI 인프라와 상호 보완적인 기능이 가능할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를 위해 SK텔레콤은 기술 관점에서 정보통신 인프라에 AI 컴퓨팅 파워를 더하기 위해 통신에 특화된 상면 설계와 맞춤형 AI 서버를 개발하고 있다. 또한 에지AI에 특화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기 위해 국내외 파트너들과 함께 6개 영역에서 실증 사업도 진행한다. 대표적으로 고래 로봇틱스와는 건설 현장에서 로봇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유 대표는 "SK는 지역을 거점으로 한 AI 데이터센터, 수도권 GPU 서비스, 전국 단위 에지AI를 중심으로 AI 인프라 슈퍼하이웨이를 만들어 나가고 있다"며 "이를 통해 2030년까지 아시아 태평양 최고의 AI 인프라 파워를 확보하고 전국 풀 커버리지 AI 인프라를 구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DD퇴근길] 네이버, '댓글부대 여론전' 대응 착수…"좌표찍기, 예의주시"
2025-01-24 20:44:48울산시 "고려아연, 시민과 함께 경영권 지켜내"… 임시주총 결과에 환영 입장
2025-01-24 17:49:58[DD's톡] KT 시총, SKT 넘어섰다…22년 만에 통신 대장주로
2025-01-24 16:51:46'엎친 데 덮친 악재'...보잉, 지난해 4분기 40억달러 손실 전망
2025-01-24 16:4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