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ICT 표준화 전략 2023' 발간…12개 기술 집중
올해는 10대 국가 필수전략기술, 6대 디지털 혁신기술 등의 연구개발 정도 및 국내외 표준 현황 등을 고려해 우리가 반드시 주도권을 확보해야 할 ICT 기반 기술인 인공지능(AI), 이동통신, 데이터, 클라우드, 양자정보통신 등 12개 핵심 대상기술에 집중했다.
특히 미래 표준화 수요 예측 및 기술 제반 현황분석을 통한 중장기 표준화 기획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표준 연구개발 방향 제시를 위한 ‘로드맵’과 민간의 국제표준화 활동 전략 제시를 위한 ‘전략맵’으로 이원화했다.
12개 핵심 대상기술 중 우선적으로 디지털 대전환의 기반이 되는 AI, 데이터, 이동통신 분야에 대한 로드맵을 진행하고, 나머지 양자정보통신 등 9개 분야에 대해서는 전략맵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먼저 로드맵에선 새롭게 표준구조모델을 개발·도입해 선제 대응이 필요한 39개 표준화 대상 기술을 선정하고, 기술 성숙도에 따라 ▲정부 R&D 지원 필요 기술, ▲국내 기술의 국제 표준화 기술, ▲후속 표준 선도 기술로 분류했다.
또, 전략맵에서는 기술 및 표준 제반 현황분석을 통해 표준화 교류 강화를 위한 127개 중점 표준화 항목을 선정하고 ▲차세대공략, ▲선도경쟁공략, ▲추격/협력공략, ▲지속/확산공략, ▲전략적수용 등 5대 추진전략으로 분류해 국제표준화 활동 전략을 제시했다.
홍성완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이번 보고서가 우리나라의 표준기술 확보의 밑거름이 되고, 동시에 국내 표준·연구개발 전문가들의 국내·국제표준 개발의 길잡이가 돼 우리나라가 글로벌 정보통신기술 표준화를 주도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中 영향력 의심하는 미국… 잭 넌 美 하원의원 “MBK의 고려아연 장악 여부 주시”
2025-02-21 18:07:30강호동 농협중앙회장, 중국 농협과 협력 강화 논의… "쌀 수출 확대, 추가 협력사업 발굴 기대"
2025-02-21 17:45:14연간 통신분쟁 전년 대비 22% 급증…”이용계약 관련 분쟁이 절반”
2025-02-21 17:39:30금감원, 올 상반기 네이버페이 정기검사… 빅테크 기업중 첫 타깃
2025-02-21 17:33:37SM·카카오엔터 합작 英 보이그룹 '디어앨리스' 공식 데뷔
2025-02-21 17:2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