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외면받는 OTT업계... “관심 뒷받침되면 많은 넷플릭스 탄생할 것”

강소현


[디지털데일리 강소현기자] 토종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의 경쟁력 강화와 관련 적절한 지원책을 마련하기 위한 논의의 장이 열렸다.

25일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왓챠 사옥에선 더불어민주당 미디어·ICT특별위원회-한국OTT협의회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정책 제안 간담회가 진행됐다. 국내 OTT산업의 활성화 방향을 모색하자는 취지다.

행사에 앞서 미디어·ICT특별위원회 총괄위원장을 맡고 있는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OTT 산업을 어떻게 육성하고 보호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본다. 현재는 제도적으로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며 정책 논의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한국OTT협의회 공동의장인 이태현 콘텐츠웨이브 대표는 “글로벌 사업자들이 국내 시장에 진출해 많은 자본이 들어오고 이 시장의 자양분이 된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다만 로컬 시장에서 망 이용대가 등 글로벌 사업자와 국내 사업자 간 역차별은 없는지에 대해선 살펴봐야할 것 같다”고 말했다.

박태훈 왓챠 대표는 ”우리나라는 수준 높은 콘텐츠 제작 기반과 ICT 경쟁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책적 관심이 뒷받침된다면 많은 글로벌 K-OTT 플랫폼이 탄생할 수 있을 것“이라며 정계의 관심을 당부했다.

이어 발제자로 나선 김용희 숭실대학교 교수는 콘텐츠에 대한 지원책이 제작사에만 치우쳐져 있음을 지적했다. 또 콘텐츠와 플랫폼 공동으로 성장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OTT의 성장동인이 콘텐츠인 만큼 OTT 시장의 규모가 커지면 자연히 콘텐츠에 대한 투자로 이어질 것이라는 주장이다.

김용희 교수는 “콘텐츠와 플랫폼을 유기적으로 연결돼 공동의 성장이 필요한데 현재의 정책은 콘텐츠 육성에만 쏠렸다”며 ”OTT가 선택·유통하는 콘텐츠가 성장하는 것인데 OTT 자체에 대한 투자는 적다“고 꼬집었다. 이어 ”이젠 논의보단 빠른 실행이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OTT 업계에 필요한 정책으로 그는 크게 6가지를 꼽았다. ▲OTT 콘텐츠에 대한 세제지원 확대 ▲자율등급제 도입 ▲민관협력 자율 규제 체계 수립 ▲OTT 특화펀드 조성 ▲OTT 기술 및 서비스 고도화 지원 ▲OTT의 해외진출 지원 등이다.

특히 김 교수는 자율등급제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OTT가 특정 콘텐츠를 국내에서 서비스하기 위해선 영상물등급위원회로부터 상영등급 판정을 거치야 하는데, 이 과정을 OTT 사업자 자율에 맡기자는 내용이다.

김 교수는 ”최근엔 글로벌 사업자에 진출로 상영등급 판정을 받아야 하는 영상물 수가 급증했다“라며 ”OTT 사업은 ‘적시성’이 특징인데, 현재는 영상물 등급판정이 완료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이 기간 영상물의 가치 또한 떨어져 금전적 손실로 이어진다“고 지적했다.

이태현 대표도 웨이브 오리지널 ‘이렇게 된 이상 청와대로 간다’를 예시로 들며 ”대선 정치 블랙코미디인 ‘이렇게 된 이상 청와대로 간다’의 경우 대선이 지나고 배포된다면 해당 콘텐츠에 대한 관심도가 대선 이전보다 확연히 떨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콘텐츠에 투자했을 때 법인세를 인하해 주는 등 OTT에 대한 세제 지원이 필요하다는 부분에 대해서도 공감대가 형성됐다.

양지을 티빙 공동대표는 ”새로운 시도에는 리스크가 뒤따른다“라며 ”세제지원 등 콘텐츠 투자에 대한 보상책이 정부 차원에서 논의된다면 동기부여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OTT의 차별화된 특성을 고려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김종하 한라대학교 교수는 ”기존 유료 방송들과 달리 OTT 같은 경우 명확하게 개인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며 “OTT의 전략적 포지셔닝이 중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OTT를 통해 수집한 각 개인의 라이프스타일 데이터가 첨단기술과 융합됐을 때 G2로 갈 수 있는 큰 자원이 되지 않을까 싶다”며 “이런 관점에서 OTT를 바라본다면 좀 더 나은 대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조승래 의원은 ”현장의 목소리를 듣는 것으로 끝내는 게 아닌 정책에 반영하겠다“며 ”앞으로도 OTT와 협의를 하는 자리를 만들 것“이라고 전했다.

강소현
ksh@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