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현대HCN 떠났다” SKT‧LGU+ 후속 M&A, 딜라이브‧CMB 운명은?

최민지
[디지털데일리 최민지기자] 결국 KT가 현대HCN을 거머쥐었다. KT는 위성방송 자회사 KT스카이라이프를 통해 현대HCN 인수전에 참가, 우선협상대상자 자리를 꿰찼다. 이에 따라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도 유료방송 2차 인수합병(M&A)을 놓고 계산대를 바삐 두드려야 한다. 5대 복수종합유선방송사(MSO) 중 남은 매물은 딜라이브, CMB 두 곳이다.

KT가 KT스카이라이프를 통해 현대HCN을 최종 인수하게 되면, 유료방송시장 점유율(2019년 하반기 기준) 35% 이상을 차지하면서 공고한 1위 자리를 유지하게 된다. CJ헬로(현 LG헬로비전)를 인수한 LG유플러스는 24.91%, 티브로드를 합병한 SK브로드밴드는 24.17%다. 딜라이브는 5.98%, CMB는 4.58%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다.

SK텔레콤군과 LG유플러스 간 점유율 차이가 현재 1% 이하인 만큼, 3위 자리로 밀리지 않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이동통신 1위 사업자인 SK텔레콤도, 케이블TV 사업자 1위 CJ헬로를 품에 안고 도약을 꿈꾸는 LG유플러스도 유료방송 꼴찌에 위치할 수는 없는 일이다.

이에 양사는 각각 두 번째 M&A를 준비할 수밖에 없다. 관건은 딜라이브와 CMB 중 어느 곳을 어떤 가격에 가져가느냐다.

딜라이브는 가입자 수와 가입자당평균매출(ARPU), 매출 측면에서 우위에 있다. 가입자 수는 지난해 12월 기준 딜라이브 200만8000명, CMB 153만1000명이다. 매출액은 2018년 기준 딜라이브 4573억5900만원, CMB 1462억2900만원이다. 딜라이브 디지털 가입자 수는 77%에 달하며, 전체 방송사업권역도 수도권 중심 권역을 확보하면서 가장 넓다.

부채비율로 보면 딜라이브는 159.59%에 달해 재무건전성이 위험하다는 신호를 보내고 있다. CMB 40.92%와 비교해 약 4배 많은 수치다. 딜라이브 영업권을 차감한 순자산가치는 마이너스나 마찬가지다. 강성으로 알려진 노조 또한 단점으로 꼽힌다.

CMB는 비용효율성이 높고 재무안정성이 양호하나, ARPU와 매출 규모가 낮다. CMB는 ARPU가 낮은 이유는 요금이 낮은 8VSB 상품이 93.4%나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두고 ARPU 상승을 쉽게 유도할 수 있는 확장성을 봐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하지만 대부분 저렴한 아날로그 가입자였던 만큼, 쉽사리 높은 가격대 상품으로 유도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다만 광주, 대구, 대전, 세종 등 광역도시 중심으로 사업권역이 밀집돼 있는 점은 강점이다.

SK텔레콤, LG유플러스 모두 합리적 가격을 제시하는 곳을 먼저 살펴볼 것으로 보인다. SK텔레콤은 M&A 전략에 있어, 최소 가격 최대 효과에 방점을 찍고 있다. 티브로드 합병 때도 주식을 합치는 방식을 적용하면서 사실상 SK텔레콤이 투입한 자금은 없다. 박정호 대표가 현대HCN 본입찰과 관련해 “인수하면 규모가 커져 좋을 듯 하다. 약간 합리적으로 신청하려고 한다”고 언급한 것도 가격을 염두에 놓은 발언으로 해석된다.

LG유플러스는 CJ헬로 인수 때 꽤 많은 돈을 쓴 만큼, 추가 M&A 여력이 없다는 평가가 상당하다. 이 때문에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CMB가 물망에 먼저 오르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딜라이브가 권역을 나눠 매각하는 방안까지 거론되고 있어 상황을 주시해야 한다.

다만, 양사가 빠르게 유료방송 M&A 2차전에 돌입할 지는 지켜봐야 한다. 딜라이브는 채권단에서 9000억원 수준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CMB는 3000억원~4000억원대로 점쳐지고 있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매각가를 낮추기 위해, 시간끌기 전략을 채택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다만, 이러한 가운데 케이블TV 쇠퇴가 가속화되면서 ‘헐값 판매’로 이어진다면 그 화살은 정부를 향해 겨눠질 것으로 예상된다. 과거 공정거래위원회가 SK텔레콤과 CJ헬로비전 결합을 허용하지 않으면서, 3년이라는 시간이 흘렀기 때문이다. 이 사이 미디어환경이 급변해 제값에 팔 수 없는 상태에 이르렀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다. 9개 개별 SO까지 M&A 대열에 합류할 전망까지 제기되는 만큼, 이들을 헐값에 넘기지 않으려면 남은 MSO 인수전 매듭부터 잘 지어야 하는 상황이다.

<최민지 기자>cmj@ddaily.co.kr
최민지
cmj@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