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취재수첩] ‘코리아 게임 패싱’ 보고만 있을텐가

이대호
[디지털데일리 이대호기자] ‘예스 재팬, 노 코리아’ 지난 5일 폐막한 중국 차이나조이 게임쇼를 본 기자의 평가다. 현장을 방문한 여타 기자들의 평가도 별반 다르지 않으리라 본다. 중국의 ‘코리아 게임 패싱’을 재차 확인한 자리였다.

올해 차이나조이에선 여느 해보다 일본풍 게임이 도드라져보였다. 귀여운 미소녀 캐릭터를 앞세운 게임들이 전시관 곳곳에서 관람객들의 시선을 끌었다. 이젠 중국어가 아닌 일본어 음성녹음(더빙)만을 채택한 게임도 나온다고 한다. 무협 장르의 일색의 차이나조이는 자취를 감춘 지 오래다.

전시 현장에 한국 게임도 있었다. 넥슨이 그나마 존재감을 보였다. 그러나 사드(THAD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으로 추정되는 판호(유통허가권) 발급 중단으로 신작이 아닌 기존 게임들만 나왔다. 외자 판호 발급이 재개됐지만, 한국 게임을 겨냥한 규제가 언제 풀릴지는 가늠하기가 쉽지 않다.

차이나조이 기업거래(B2B)관에선 일본무역진흥회 공동관과 일본디자인연합 부스가 눈에 띄었다. 반면 한국은 중소기업 대상의 공동관을 꾸리지 않았다. 판호가 나오지 않으니 굳이 부스를 꾸려 신작을 홍보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대신 행사장 인근 호텔에 자리를 마련해 비즈니스 미팅을 이어갔다. 한국의 게임기업 관계자들이 안쓰럽게 느껴지는 것은 기자 혼자만의 생각일까.

중국 시장엔 진입조차 하지 못하고 국내에선 잘 만든 중국산 대형 게임에 밀려 입지가 좁아지고 있는 것이 한국 게임업체들의 현실이다. 코리아 게임 패싱도 서러운데 안방에서도 힘을 받지 못하는 형국이다.

최근 중국 게임업체가 현지에서 직접 서비스에 나서는 사례가 부쩍 많아지면서 부실한 고객센터 대응이 도마에 오르곤 한다. 전화응대가 불가한 곳이 적지 않다. 공식카페 등 관련 커뮤니티 게시 글에 따르면 성의 없는 답변이 잦고 환불받기가 여간 힘든 것이 아니다. 환불대행 업체가 극성을 부리는 주된 이유 중 하나다.

이 경우 이용자 보호 관점에서 정부와 게임 협단체가 대응할 필요가 있다. 규제가 쉽지 않다면 인기 게임 위주로 고객센터 모니터링을 통해 관련 정보를 공개하는 것도 방법이다.

중국이 한국 게임을 콕 집어서 묻지마 규제를 한다고 똑같이 대응하자는 얘기는 아니다. 정교하지 못한 보복성 규제는 더 큰 화를 불러올 수 있다. 그렇다고 한국 이용자들을 쉽게 보고 부실한 서비스를 이어가는 중국산 게임들을 보고만 있어선 안 될 것이다.

<이대호 기자>ldhdd@ddaily.co.kr
이대호
webmaster@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