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라이트닷넷] ‘들을 거리’ 넘친다… 진화하는 오디오 콘텐츠
[디지털데일리 IT전문 블로그 미디어 = 딜라이트닷넷]
들을 거리가 풍부해진다. 그동안 비디오에 밀렸던 오디오 콘텐츠가 다시 가치를 주목받고 있다. 대표적인 영상콘텐츠 사업자인 넷플릭스부터가 오디오 콘텐츠로 저변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 내년부터 코미디 라디오 방송을 시작하기 위해 위성라디오 사업자 시리우스XM과 업무 협약을 맺었다. 구글은 올해 1월부터 구글플레이 오디오북 서비스를 한국 포함 45개국에 출시했다. 아마존은 이미 오디오북 서비스 '오더블'을 통해 시장 성장을 이끌고 있다.
이런 움직임은 국내에서도 활발하다. 네이버는 지난해 말 KTB네트워크와 총 300억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고, 최근 휴머니스트출판 그룹 ‘고전백독:논어’ 프로젝트와 지식콘텐츠 플랫폼 윌라에 투자했다. 오디오 플랫폼 ‘오디오클립’ 콘텐츠를 확충하기 위해서다. 지난달부터 오디오북 유통 서비스도 시작했다. 향후 일반 창작자도 오디오북을 판매할수 있도록 서비스를 확장할 예정이다.
인터넷 방송 플랫폼 아프리카TV 자회사 프릭엔을 통해 라디오 방송 플랫폼 출시를 준비 중이다. 모바일 기반 개인 라디오 시장은 이미 스푼라디오가 다운로드 250만을 기록하며 순항 중이다. 미리 녹음된 콘텐츠 위주인 팟캐스트와 달리 실시간으로 방송자와 청취자가 소통하고 간편한 후원이 가능하다는 차별점이 있다.
오디오 콘텐츠는 태생적으로 비디오보다 차별된 경쟁력이 있다. 시각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어 출퇴근 중이나 작업 중 활용하기 적합하다. 여기에 더해 인공지능(AI) 스피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등 하드웨어 저변이 발전하면서 구동 편의성과 접근성이 높아진 덕도 있다. 필요한 콘텐츠를 찾는 대신 간단한 조작이나 음성 명령으로 구동함으로써 접근 마찰을 줄인 것이다. 실제로 AI 스피커 이용자는 팟캐스트 이용률이 약 20% 높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그러나 하드웨어 발전만으로는 오디오 콘텐츠 확산 현상을 설명하기 어렵다. AI 스피커 보급률이 높은 미국도 아직은 약 20% 수준이다. 컨슈머인사이트 조사에 따르면 국내 역시 AI 스피커 경험률은 11%에 불과하며 대부분은 음악 감상에 기기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소비자 대부분은 새로운 기기가 아니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오디오 콘텐츠를 소비한다.
따라서 일각에서는 이용자들이 화려한 시각적 자극에 피로감을 느껴 청각으로 회귀했다고 분석하기도 한다. 전자기기와 거리를 좀 더 늘리는 ‘디지털 디톡스’ 움직임의 하나라는 것.
아울러 비디오 콘텐츠 성장 잠재력이 어느 정도 한계에 다다랐다는 평가도 있다. 사람이 하루에 비디오를 시청할 수 있는 시간은 어느 정도 한정돼 있고, 자본 투입으로 콘텐츠 질을 높이더라도 이를 더 늘리긴 어렵다는 뜻이다. 최근 숏클립 형식의 비디오가 각광받는 이유도 같은 맥락이다. 반면 오디오는 비디오보다 접근성이 높으면서도 소비 시장이 겹치지 않는 부분이 있다.
그럼에도 그동안 오디오 콘텐츠 시장이 국내에서 성장하지 못했던 이유로 업계는 콘텐츠의 질 문제를 꼽는다. 지식 콘텐츠 서비스 ‘윌라’를 운영하는 인플루엔셜 관계자는 “내가 듣고 싶은 콘텐츠, 책이 없으면 아무리 편의성이 좋아도 소비자들이 듣지 않게 된다”며 “기존 업체들은 주로 저작권 이슈가 없는 고전 등을 콘텐츠로 서비스해왔다”고 설명했다.
윌라는 ‘미움받을용기’ ‘명견만리’ 등 실제 출판서적들 중에서도 인기가 좋았던 책을 선별한다. 지적재산권(IP) 파워가 좋은 콘텐츠를 선별한다는 뜻이다.
임종훈 대표, 한미사이언스 주식 105만주 매각… 상속세 납부 목적, 이면에 불가피한 속사정?
2024-11-15 18:04:20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이사회 의장직 내려놓겠다”… 삼성∙보잉 사례 참고했나
2024-11-15 17:19:23[DD퇴근길] 네이버 밴드, 美 MAU 600만 돌파…IT서비스업계, 연말인사 포인트는
2024-11-15 16:53:04비트코인이 불지른 가상화폐 ‘불장’… 금융당국, '이상거래' 모니터링 강화
2024-11-15 16: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