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전화로 무엇을 할래?
[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What to do with payphones? and now we have an answer.”
공중전화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공중전화는 말 그대로 모두가 이용할 수 있는 통신수단이지만 사실 요즘은 잘 이용하지 않는다. 아마도 공중전화 요금이 얼마인지 모르는 사람도 많을 것이다. 공중전화 기본요금은 3분에 70원이다.
최근 빌 드블라지오 뉴욕 시장은 공중전화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오랫동안 검토한 결과 해답을 찾았다고 밝힌 바 있다. 그가 찾은 방안은 공중전화 부스를 와이파이 핫스팟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운영비용을 마련해야 하는 숙제가 남기는 했지만 아이디어 자체는 나쁘지 않아 보인다.
휴대폰 보급률이 높을수록 공중전화, 유선전화는 쇠락할 수 밖에 없다. 뉴욕이나 우리나라나 공중전화는 애물단지가 된 지 오래다.
미래창조과학부가 산정한 2012년도(2013년도 예정분)의 공중전화 손실보전금은 141억원이다.
손실보전금이란 보편적으로 이용해야 하는 서비스의 경우 수익을 거두기 힘든 것들이 있는데 손실이 발생할 경우 손실의 전부나 또는 일부를 사업자들이 분담하는 제도다. 통신에서 시내전화, 공중전화, 도서통신, 선박무선 등이 해당된다. 즉, 국민에게 꼭 필요한 서비스인데 KT가 손해를 보면서 서비스를 하니 다른 사업자들이 고통을 분담하라는 뜻이다.
KT에 따르면 월 매출 1000원(2012년 기준)도 안 되는 공중전화가 전국에 약 9000여대나 있다고 한다. 한 달 동안 이용자 수가 한 명도 없는 전화기도 100대가 넘는다.
이처럼 쓰임새는 줄어들다보니 설치대수도 감소추세다.
1997년 14만6000여대에 이르던 공중전화는 10년 후인 2007년 10만2000여대로 줄었고, 지난해에는 7만6000여대까지 감소했다. 정부도 규모를 줄이는 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공중전화는 2km당 1대였지만 2012년부터 시 단위 이상은 2.5km당 1대로, 도농복합 시·군 지역은 3km당 1대로 완화했다.
하지만 이용률이 낮다고 공중전화를 아예 없애버릴 수는 없는 노릇이다.
여전히 군인들에게는 필수 아이템이고 휴대폰이 없을 때 어쩌다 한 번씩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쩌다 한 번씩 쓰기위해 공중전화 및 부스를 운영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KT는 공중전화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성능의 공중전화 및 서비스를 도입하고 있다. 인터넷 검색기능 등을 제공하는 스마트포스트(SMARTPOST)를 비롯해 공중전화기와 현금자동지급기를 결합한 멀티공중전화 부스 등도 있다. 폐 공중전화 부스는 4대강에서 자전거 인증센터 부스로도 활용되고 무인 도서관으로 변신하기도 한다.
이 같은 노력에도 불구, 공중전화를 찾는 이들은 별로 없다. 새로운 서비스가 나오며 성공하면 한편에서는 도태되는 서비스가 있기 마련이다. 그럼에도 여전히 공중전화는 보편적 서비스로 지켜야 할 가치가 있다. 보편적 가치를 보존하고 국민에게 더 많은 편익을 제공하면서도 재정적으로 부담이 되지 않도록 다양한 아이디어를 발굴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IT백과] 생성형AI의 진화 ‘AI 에이전트’, 기존 AI 비서와 뭐가 다를까?
2024-12-21 13:27:59[종합] AI 초격차 확보 공고히 한 오픈AI…12일간 여정 끝엔 ‘쩐의전쟁’ 남았다
2024-12-21 11:15:25오픈AI, o1보다 더 강력한 o3 예고…개발자·연구자 대상 사전 테스트 실시
2024-12-21 08:0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