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대호기자] 국제게임전시회 ‘지스타 2013’의 개최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지스타는 명실 공히 국내 최대 게임쇼다. 지난해 19만명이 넘는 관람객이 다녀갔다. 참가기업들도 각사마다 적게는 십수명에서 수십명이 개최지인 부산으로 이동한다. 게임업계 대이동이 일어나는 것이다. 부산발전연구원 조사결과 지난해 지스타의 경제효과는 1000억원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지스타는 게임업계 연중 최대 행사이자 경사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올해 업계는 지스타를 앞두고 마음이 편치 않다. 최근 전 사회적으로 논란이 일으키고 있는 중독법(중독 예방·관리 및 치료를 위한 법률안) 때문이다.
중독법 논란은 불과 한달여 사이에 급작스럽게 전개됐다.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가 지난달 교섭단체 연설 도중에 ‘4대 악’의 하나로 게임을 지목하면서 불거진 이슈가 남경필 의원(한국인터넷디지털엔터테인먼트협회장, K-IDEA)의 반대 입장 발표, 공청회로 이어진 황 대표와 남 의원 간 이견 충돌 그리고 K-IDEA 주도의 중독법 온라인 반대 서명운동까지 이 모든 것이 한달여 사이에 일어났다.
최근엔 전병헌 민주당 원내대표가 게임 커뮤니티에 글을 올려 “꼰대적 발상”이라며 중독법을 비판하자 법안을 대표 발의한 신의진 새누리당 의원이 “망언에 가까운 발언”이라며 강력 반발한 일도 있었다.
이제 중독법은 게임업계 뿐 아니라 정치권, 기성 미디어까지 촉각을 기울이는 초미의 관심사가 됐다.
이 때문에 지스타가 개최를 앞두고도 중독법 이슈에 밀려난 모양새다.
이맘때면 지스타가 게임업계 이슈를 독점하다시피 해왔다. 그런데 지금은 중독법이 그 자리를 대신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중독법 논란 때문에 업계도 지스타에 온 신경을 기울일 수 없는 처지다.
그런데 올해 지스타는 중독법 논란을 차치하더라도 분위기가 이전 같지 않다.
국내 주요 게임업체들이 일반전시(B2C)관에 대거 불참하면서 관람객들이 기대할 만한 전시작의 수가 줄었기 때문이다. 지금은 블리자드 등 해외 업체들이 지스타 참가에 공세적으로 나서고 있다.
몇몇 중견 업체는 지스타 참관을 포기했다는 얘기도 들린다.
그동안 지스타 전시관 참여 여부를 떠나 대외협력 부서는 업무 특성상 일부 인원이라도 참관하는 것이 당연시돼 왔으나 최근 경영환경이 악화되면서 몇 십만원의 지출도 아껴야 한다는 분위기가 팽배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내려간다는 말도 꺼내지 못했다”고 전했다.
지금 게임업계는 모바일 중심으로 급변하는 시장 상황에 대응하기 벅찬 가운데 중독법을 포함한 부담금 징수 등의 규제 이슈를 마주하고 있다. 가혹한 상황이라는 생각도 든다.
그래도 현 게임업계는 ‘중독법은 사활을 걸고 막겠다’는 입장이다. 게임이 마약과 같이 언급되는 것을 더 이상 두고 볼 수 없다는 것이다. ‘중독법에서 게임이 제외돼야 업계 미래가 있다’는 분위기까지 왔다. 이번 중독법은 게임업계의 자존심을 건드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