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 IT] 4:3 vs 16:9, 스마트폰 화면비 장단점은?…팬택 '포켓' 써보니
[IT 전문 블로그 미디어=딜라이트닷넷]
[디지털데일리 윤상호기자] 팬택이 미국 시장에 색다른 스마트폰 ‘포켓’을 선보였다.
<관련기사: 스마트폰? 전자책?…팬택, 4:3 비율 안드로이드폰 ‘포켓’ 선봬>
포켓은 틈새제품이다. 지금은 거의 찾아볼 수 없는 4:3 화면비를 채용했다. 화면 크기는 삼성전자 ‘갤럭시S’와 마찬가지로 4인치다. 같은 4인치더라도 화면 비율이 다른 탓에 생김새나 느낌은 많이 다르다. 화면 크기는 디스플레이의 대각선 길이로 정해진다.
4:3 디스플레이는 글자를 읽는데 적합하다. 한 줄에 들어오는 글자가 많다. 16:9 디스플레이의 경우 한 화면에 들어오는 정보가 많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가로가 짧기 때문에 4:3보다는 불편하다. 휴대폰을 가로로 돌렸을 경우도 4:3이 위아래 길이가 길어 화면을 내리기 위해 터치를 덜 해도 된다. 16:9는 한 줄이 너무 길어진다.
그래서 책의 가로 세로 비율이 4:3인 것이다. 수천년간의 경험이 4:3이 글자를 보기에는 편하다는 결론을 내린 셈이다. 인터넷이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 글자 위주 서비스에서는 4:3이 더 적절하다.
그렇다면 왜 대부분의 스마트폰은 16:9 화면 비율인 것일까. 16:9는 동영상과 사진을 보는데 적합하다. 고화질(HD) TV가 보급되면서 대부분의 콘텐츠가 16:9로 생산된다. 4:3에서 16:9 콘텐츠를 보면 화면이 왜곡되거나 위아래에 검은선이 생긴다.
또 16:9가 제품 슬림화에 유리하다. 4:3기기는 생김새가 정사각형에 가깝다. 16:9는 직사각형이다. 손에 잡기에는 정사각형보다는 직사각형이 안정적이다. 정사각형은 직사각형보다 한 손으로 모든 조작을 하기가 불편하다는 단점도 있다. 화면이 커지면 4:3은 만들고 싶어도 못 만든다.
포켓은 4:3 화면비와 디자인 및 편의성의 조화의 마지노선에 위치한 제품이다. ‘아마존 킨들’과 ‘구글 북스’ 등을 탑재해 ‘글씨를 읽기 위해 나온 스마트폰’이라는 이미지를 더했다. 4인치라는 화면 크기는 한 손에 휴대폰을 들고 다니는 한계선으로 보인다. 가로 길이만 놓고 보면 요즘 나온 4.3인치 스마트폰들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실제 제품을 사용해보니 4인치 4:3 비율 스마트폰은 경쟁력이 있다. 특히 향후 보급형 스마트폰 시장에서는 상당한 파급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포켓도 재미있는 기계다. 동영상보다는 인터넷 사용이 많다면 4:3 화면비가 낫다.
포켓은 미국 AT&T를 통해 출시됐다. 미국 소비자들은 어떤 선택을 할지 궁금하다. 국내 통신사가 포켓이 아니더라도 4:3 제품을 내놓을지는 미지수다. 아직 국내 시장은 통신사가 원치 않는 스마트폰은 판매할 수 없다. 이런 제품을 만나려면 내년 5월이 돼야 한다. 내년 5월부터는 제조사가 직접 휴대폰을 소비자에게 팔 수 있게 된다.
[윤상호기자 블로그=Digital Culture]
"BTS·블랙핑크 나이스"…68만 빅데이터로 본 최고 한류는 'K-팝'
2025-02-25 15:07:21“이게 돈이 되거든요”...패션 플랫폼, 뷰티 시장 뒤흔들까
2025-02-25 14:15:45[IT클로즈업] 카톡 선물하기·야놀자 예약, 다음은?…베일 싸인 오픈AI 韓 동맹
2025-02-25 14:14:38카카오페이손해보험, 전세사기 위험 보장 '전세안심보험' 출시
2025-02-25 14:06:33OK캐피탈, 조직개편 통해 "부동산PF 털고 신사업 적극 모색"
2025-02-25 14: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