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기사 검색 시대, 기자님들 준비됐나요?
[IT 전문 블로그 미디어=딜라이트닷넷]
네이버가 정확도순에 따라 결과를 노출하는 식으로 뉴스 검색 서비스를 개편한 데 이어 기자별 검색 기능도 추가했습니다. 검색 영역을 ‘기자명’으로 맞춰놓고 기자 이름을 입력하면 해당 기자가 쓴 기사를 쭉 볼 수 있게 된 것입니다(관련기사 참조).
네이버는 “유명인 검색 시 동명 기자의 기사가 함께 검색되는 사례를 개선하기 위해 이번 개편을 단행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유가 뭐건 기자명으로 기사를 검색하는 기능이 추가됐기 때문에 독자들은 특정 기자가 어떤 분야에 어느 정도의 관심과 지식수준을 가졌는지 쉽게 가늠할 수 있게 됐습니다. 일부 단체나 업체의 이익만을 대변하는지, 어떤 성향의 기사를 쓰는지도 알 수 있겠죠. 네이버는 대단히 단편적인 기자별 검색 기능을 제공하지만 적잖은 의미가 있는 것입니다.
다음의 경우 오래 전부터 기자별 검색 기능을 제공해왔습니다. 네이버보다 더 구체적으로 기자별 기사 검색 결과를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기자:한주엽’으로 검색하면 해당 기자의 기사를 보여주고, 사안이 같은 기사는 묶어서 보여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관되지 못한 메시지를 던져줄 경우 쉽게 확인이 가능한 구조입니다.
(‘매체명:키워드’를 입력해보면 재밌습니다. 해당 키워드에 대한 특정 매체의 성향을 알 수 있습니다.)
포털 사이트에서 뉴스를 소비하는 시대, 전문기자 타이틀을 달고 있다면 본인 이름이 부끄럽지 않도록 기사 송고 직전 여러 번 심사숙고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가치 있는 소식을 심도 깊고 정확하게 전달해야 하는 것이 바로 전문기자의 역할이기 때문입니다.
사실을 왜곡하거나 잘못된 정보를 전달했을 경우 검색해보면 다 나오게 됐습니다. 더 이상 매체를 등에 업은 상태에서 기자 개인이 피하고 숨을 곳이 없습니다.
한편으론 기자들 개개인의 브랜딩이 중요해지는 시기인 것 같습니다. 취재 없이 설렁설렁 쓰거나 엉성한 기사 하나 둘씩 올리면서 면피하는 기자들은 살아남기가 힘들게 됐습니다. 반면, 꾸준하게 질 높은 콘텐츠를 생산하는 기자는 스타 기자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있습니다.
명승은 태터앤미디어 대표는 “기자들 생각이 깨어 있으면 자기 색깔을 띠고 브랜딩에 집중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본인만의 색깔, 본인만의 스토리텔링 기법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삼성전자에, 구글에, 애플에 정통한 기자로 알려지면 어떤 사안이 생겼을 때 해당 기자 이름으로 검색해보는 독자들도 생길 것이라는 얘기입니다. 예컨대 연예인 뒷모습만 찍는 식으로 자신만의 기사 스토리텔링 기법을 개발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의식을 했건 하지 않았건 네이버를 비롯한 포털 사이트가 국내 미디어 환경을 크게 바꿔놓고 있습니다.
[한주엽기자 블로그=Consumer&Prosumer]
연말인사 희비 엇갈린 IT서비스 기업들, ‘체질개선’ 공통숙제로
2024-12-26 12:49:47[취재수첩] '세계 최초 AI 교과서' 껍데기만 남을 판... 성급한 정책의 결과?
2024-12-26 12:46:49과기정통부, 생활제품·환경 전자파 측정결과 공개…"인체보호기준 모두 충족"
2024-12-26 12:00:00티빙·네이버플러스 멤버십 제휴 내년 3월 종료…"대신 50% 할인 이벤트"
2024-12-26 11:23:10“상담스크립트도 AI가 척척”...크라우드웍스가 개발한 ‘AI어시스턴트’는 무엇?
2024-12-26 11: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