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학습은 이제 전세대 공통 니즈"... 데이원컴퍼니 AI 교육 콘텐츠 매출, 3년새 2733% 증가
[디지털데일리 이건한 기자] 실무 AI 교육 콘텐츠 투자에 집중했던 데이원컴퍼니가 지난 3년간 관련 매출 85억원을 기록, 2733%에 달하는 성장률을 기록하며 조기 투자의 효과를 톡톡히 봤다. 데이원컴퍼니는 12일 이 같은 성과를 전하며 'AI 시대의 성인 학습 기준을 새롭게 정립하겠다'는 포부를 전했다.
올해 국내에서만 월간활성사용자수(MAU)가 1000만명을 돌파한 오픈AI의 '챗GPT'를 필두로, 지난해 성인 교육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은 키워드는 생성형 AI였다. 데아원컴퍼니의 실무교육 브랜드 '패스트컴퍼니'는 AI 열풍이 본격화되기 전인 2020년부터 AI 교육 콘텐츠 확보에 선제적으로 투자한 결과 현재 주목할 만한 성과로 눈길을 끌고 있다.
패스트캠퍼스는 2020년 5개로 시작한 AI 강의를 2024년 기준 152개로 30배 이상 늘렸다. 이 중 95개는 생성형 AI의 인기가 본격화된 지난 1년 사이 추가된 것이다. 회사는 3년간 AI 교육 콘텐츠 매출이 2000%나 증가하는 등 트렌드 변화에 따른 선제적인 투자 전략이 유효한 성과를 거뒀다는 설명이다.
패스트캠퍼스에 따르면 현재 AI 교육 수요를 이끄는 핵심 세대는 젊은층이 아닌 네이티브 세대다. 2024년 강의 상세 페이지 방문 데이터 분석 결과 45~54세 방문자가 2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또한 40대 이상은 전체 방문자의 45%를 차지하고 65세 시니어층의 비중도 5%에 달했다. 이는 AI 교육이 특정 세대의 유행이 아니라 모든 연령층의 직업 경쟁력과 업무 생산성 관여에 기여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반영된 결과물로 풀이된다.
실제로 소비자들이 주로 찾은 강의도 실전 활용 사례 중심으로 업무에 즉시 적용 가능한 강의였다. 지난해 패스트캠퍼스에서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한 AI 강의는 '테디노트의 랭체인을 활용한 GPT부터 로컬 모델까지의 RAG 가이드'다. 누적 매출 60억원으로 전체 AI 강의 중 압도적인 성과를 거뒀다. 이어 '프로에게 배우는 ComfyUI 이미지/영상/게임/광고 제작', 'AI 시대 일잘러를 위한 비현실적인 400가지 ChatGPT 활용 바이블'이 각각 54억 원, 40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큰 호응을 얻었다.
검색 키워드 분석 결과에서도 실무 중심의 AI 교육 수요 트렌드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2024년 패스트캠퍼스 홈페이지에서 가장 많이 검색된 AI 관련 키워드는 이미지 생성 분야로 ▲미드저니(Midjourney) ▲스테이블 디퓨전(Stable Diffusion)이 큰 관심을 받았다. 이어 ▲생성형 AI ▲ChatGPT ▲프롬프트 등 실용적인 AI 활용 키워드가 상위권에 포진했다. 이밖에 의료와 논문 등 전문 분야에서 AI를 실무에 접목하려는 검색 비중도 두드러졌다.
이강민 데이원컴퍼니 대표는 "AI는 이제 선택이 아닌 모든 산업 분야의 필수 역량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번 조사 결과에서 특히 중장년층에서 확인된 높은 학습 의지가 이를 방증한다"며 "앞으로도 기술 변화의 최전선에서 AI 시대의 성인 학습 기준을 새롭게 정립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NSIS 2025] 아톤 "양자컴 상용화는 SF 아닌 현실…PQC로 예방"
2025-05-20 18:15:086월부터 비영리법인·가상자산거래소, 가상자산 매도 허용… 고객확인 강화
2025-05-20 17:42:37작년 하반기부터 '가상자산' 불붙었다… 시가총액·원화예치금 급증
2025-05-20 17:29:46카카오엔터 장윤중 공동대표, 빌보드 '2025 글로벌 파워 플레이어스' 선정
2025-05-20 17:15:13[DD퇴근길] 지브리 프사로 촉발된 'AI 저작권'…"법·정책 논의 필요해"
2025-05-20 17:1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