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그룹 3형제·신유열 부사장, 트럼프 주니어 면담… 美 사업 협력 논의
[디지털데일리 최규리기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가 30일 서울 강남 조선 팰리스 호텔에서 국내 주요 그룹 총수들과 비공개 릴레이 면담을 진행했다. 이날 오전 가장 먼저 호텔에 모습을 드러낸 인물은 한화그룹의 3세 경영인들이었다.
김동관 부회장을 중심으로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 김동선 한화갤러리아·호텔앤드리조트 미래비전총괄 부사장 등 3형제가 오전 8시께 호텔에 도착해 트럼프 주니어와 개별 면담을 가졌다. 면담 직후 이들은 호텔 내 커피숍에서 커피를 테이크아웃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김동관 부회장은 곧바로 경남 거제로 이동해 한화오션 거제조선소를 찾은 존 펠란 미 해군성 장관과의 별도 일정을 소화했다.
한화그룹은 트럼프 가문과 오랜 관계를 맺고 있다. 김승연 회장은 2017년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에 초청받은 유일한 국내 대기업 총수였고, 김동관 부회장도 올해 초 트럼프 2기 취임 행사에 참석해 공화당 인사들과 네트워크를 다졌다. 방산과 우주항공, 에너지 등 한화의 미국 사업을 감안할 때, 이번 면담 역시 실질적 협력 기반을 넓히는 계기가 된 것으로 풀이된다.
오후에는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장남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부사장)이 면담 현장에 합류했다. 신 부사장은 인도네시아 경제사절단 일정을 마치고 귀국한 직후 트럼프 주니어와 회동했다.
롯데는 미국 내 석유화학, 바이오, 호텔, 식품 등 전방위 사업을 전개 중이다. 롯데케미칼의 루이지애나 석유화학단지, 롯데바이오로직스의 뉴욕 BMS 공장, 롯데호텔의 미주 지역 운영망 등이 대표적이다. 그룹 차원의 미국 전략을 고려할 때, 이번 면담도 후속 비즈니스 논의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다.
트럼프 주니어의 릴레이 면담은 대기업은 개별, 중견기업은 집단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보안 구역 내에서 30분~1시간가량 비공개로 이뤄졌다. 트럼프 주니어는 이날 저녁 출국할 예정이며, 면담 일정에 따라 귀국 시점은 유동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SK텔레콤 단독 청문회 추가로 연다…“다음달 8일 최태원 증인석 세울것”
2025-04-30 22:08:52공학한림원, 내달 14일 정책토론회…에너지·AI·인재 전략 제안
2025-04-30 18:31:29겉핥기 된 SKT 청문회…‘위약금 면제’에 집중 (종합)
2025-04-30 18:31:10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美 트럼프 장남 만났다…"AI·테크 협력 모색"
2025-04-30 18:0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