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루스첨단소재, OLED IT 정조준…新전자수송층·정공방어층 소재 양산 본격화 [소부장디과장]
[디지털데일리 배태용 기자] 솔루스첨단소재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사업 확장을 본격화한다. 자체 지식재산권(IP)을 기반으로 개발한 전자수송층(ETL)과 정공방어층(HBL) 소재가 글로벌 IT 기기에 잇달아 채택되며, 프리미엄 디스플레이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솔루스첨단소재는 최근 노트북과 태블릿 등 IT 기기용으로 개발한 ETL과 HBL 소재가 고객사 승인을 완료하고 양산 준비 단계에 진입했다고 밝혔다. 특히, ETL과 HBL은 각각의 소재뿐만 아니라 세트 형태로도 공급될 예정으로, 소재 간 시너지 극대화에 나설 방침이다.
ETL은 발광층으로 빠르게 전자를 이동시키는 전자 수송층으로, 소비 전력을 줄이면서도 전기적 안정성과 장수명을 확보한 저전압 특성이 특징이다. HBL은 형광 소재가 적용되는 블루(Blue) 발광층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솔루스첨단소재가 오랜 기간 기술적 경쟁력을 확보해온 핵심 분야다.
회사는 특히 HBL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해당 소재는 글로벌 프리미엄 IT 기기 제조사에 채택돼 내년 초부터 양산에 돌입할 예정이며, 이에 앞서 올 하반기에는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먼저 적용된다. ETL과 HBL 세트 제품은 올해 말부터 노트북, 태블릿 등 다양한 기기에 탑재될 예정이다.
OLED 채택이 가속화되는 배경에는 온디바이스 AI 확산이 자리하고 있다. 디스플레이의 고화질·고성능화 요구가 증가하면서 OLED가 IT 기기의 주력 패널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와 맞물려 솔루스첨단소재의 수요도 꾸준히 증가할 전망이다.
이와 함께, 솔루스첨단소재는 기존에 해외 고객사에만 공급하던 대형TV용 ETL을 최근 국내 고객사에도 공급하며 영역을 넓히고 있다. OLED 모니터가 게임용 디스플레이로 주목받는 가운데, 관련 시장 규모가 올해 처음으로 10억달러(약 1조4200억원)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도 공급 확대에 힘을 보태고 있다.
김태형 솔루스첨단소재 사장은 "그동안 공들여 개발한 차세대 소재들이 시장에서 안정적으로 채택되고 있다"라며 "자체 IP 기반 제품들이 일반형부터 프리미엄 제품군까지 폭넓게 진입하면서 발광·비발광 소재 양축에서 사업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딥시크에 칼 빼든 개인정보위…"국외 이전 이용자 정보, 즉각 파기"
2025-04-24 12:00:00일본으로 떠난 소프트캠프, 웹격리 보안 서비스 '실드게이트' 소개
2025-04-24 11:49:56문체부, 애니메이션 산업에 1500억원 투자한다…‘IP 강국’ 도약 시동
2025-04-24 11:2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