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네트워크 장애 예측” LGU+, 에릭슨과 기술 시연
[디지털데일리 오병훈기자] LG유플러스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네트워크 품질 검증 기술을 선보였다.
LG유플러스(대표 홍범식)는 통신장비 제조업체인 에릭슨과 AI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장애를 예측하는 기술을 시연했다고 23일 밝혔다.
AI와 머신러닝(AI/ML) 기반 네트워크 장애 예측 기술은 ‘네트워크 데이터 분석 기능(NWDAF, 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의 핵심으로 꼽힌다. NWDAF는 네트워크 상 데이터를 분석하고, 장애를 예측하며, 필요한 조치를 자율적으로 시행하는 등 네트워크 자동화를 돕는 장비다. 국제 이동통신 표준화 기구인 ‘3GPP’ 표준기술장비이기도 하다.
특히, NWDAF는 차세대 통신의 주요 기술인 ‘네트워크 슬라이스’ 품질 검증에 활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싱은 하나의 네트워크를 여러 개 독립된 가상 네트워크로 구축하는 방식을 뜻한다. 과거에는 단일 네트워크를 여러 사용자가 단순 공유했기에 특정 사용자가 과도한 트래픽을 사용하면 다른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활용하면, 각 슬라이스가 개별 사용자 필요에 따라 독립적으로 구축되기 때문에 트래픽 혼잡과 같은 상황에도 각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LG유플러스와 에릭슨이 이번에 시연한 기술도 기지국의 트래픽 혼잡 상황이 발생했을 때, NWDAF 를 통해 네트워크 슬라이스별 과부화를 실시간으로 인지·예측하고, 필요한 조치를 결정하는 등 네트워크 품질을 선제적으로 보장하는 것이다.
이는 향후 AI에 의한 자율 조치 시행까지 결합될 경우 ‘인간 운영자’ 개입 없이도 네트워크가 작동되는 자동운영 솔루션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것이 LG유플러스 측 설명이다.
또, 양사는 AI/ML 기반 기술로 네트워크 사용 패턴 및 체감 품질을 사업자가 지정한 핵심 성과 지표(KPI)에 기초해 보여주고, 음성 품질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을 실시간 분석·예지할 수 있는 기술도 시연했다.
한편, LG유플러스는 차세대 통신의 핵심인 AI 기반 네트워크 운영 자동화 관련 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이화여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포항공대 등이 참여하는 ▲분산협력 AI기반 네트워크 자동화 기술 개발, ▲6G 지능형 코어 개발 연구 등도 수행하고 있다.
이상헌 LG유플러스 NW선행개발담당은 “이번 연구를 통해 이용자 불편 사항을 사전에 인지해 조치하는 운영 자동화 기술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AI 기술을 네트워크 인프라에 적용하는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홍석원 에릭슨 (클라우드소프트웨어서비스, CSS) 기술총괄(상무)은 “3GPP 규격 기반이며, 네트워크 운용자동화 필수장비인 NWDAF 네트워크 품질 분석, 예측 및 인사이트 제공 기술을 통해서 5G 네트워크 고도화 및 고객 경험 개선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HS효성첨단소재·코오롱인더, 타이어코드 분쟁 ‘일시 정지’
2025-04-23 11:26:55딜라이트룸, 정인혜 CPO 영입… ‘알라미’ 기상 솔루션으로 도약
2025-04-23 11:26:21[기획 / 신용 인플레시대①] "기존 CSS로는 한계"… 대안찾는 금융권
2025-04-23 11:06:48"기술, 사람을 향해야 한다"…SK, 로보틱스 본격화 '나무' 선언
2025-04-23 11:05:15美 방문한 강호동 농협중앙회장… 'K-푸드'수출 활로 모색
2025-04-23 10:5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