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규곤 파수 대표 “새로운 워크포스로 AI 부상, 프라이빗 LLM 전략 필요”
[디지털데일리 최민지기자] 조규곤 파수 대표가 새로운 컴퓨팅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생성형 인공지능(AI) 시대에 대비하는 기업 전략을 소개했다.
조규곤 대표는 22일 페어몬트 앰배서더 서울에서 열린 ‘FDI 2025 심포지엄’ 기조연설을 통해 “기업이 적극적으로 AI를 활용하려면, 퍼블릭 거대언어모델(LLM)을 제한된 범위로 사용하면서 소형거대언어모델(sLLM)을 목적에 맞게 여러 개를 쓰는 전략을 취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기업은 AI 인프라스트럭처를 구축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데, 퍼블릭 LLM을 기업 전반에 사용하기엔 비용과 보안 문제에 직면한다. 이에 프라이빗 LLM 전략이 필연적이라는 설명이다.
조 대표는 “시스템 레벨 인프라스트럭처에 너무 많은 돈을 쓸 필요는 없다”며 “지난해 국내 대규모 AI 프로젝트를 보면, 절반 이상이 하드웨어 인프라 구축 비용이었다. GPU 가격도 (지난해와 비교해) 안정화되고 있고, 시스템 구축 방법 또한 바뀌고 있다”고 부연했다.
대신, 조 대표는 AI 데이터‧거버넌스 스트럭처에 주목했다. 하드웨어 투자 비용을 절감하면서 효율성을 높이자는 것이다.
조 대표는 “(AI) 데이터 스트럭처는 하드웨어가 어떻게 변화하든 갖춰야 하는 부분이며, 기업 인프라는 AI에 맞게 업그레이드할 필요가 있다”며 “AI 콘텐츠를 검증해야 하고, 법률적 리스크도 해소해야 한다. AI 거버넌스는 시큐리티 측면에서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새롭고 발전된 AI 모델들이 쏟아지는 만큼, 이를 신속하게 언제든 사용할 수 있는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며 “워크포스로 사용할 수 있는 AI 애플리케이션을 적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고 프라이빗 LLM 구축과 관련해 조언했다.
지난해 10월 가트너에 따르면, 새로운 AI 모델이 2.5일에 하나씩 쏟아지고 있으며 2026년 대다수 소프트웨어(SW)가 AI 기능을 장착할 전망이다. AI는 새로운 형태의 워크포스(노동력)인 만큼, 기업의 AI 사용은 확대될 수밖에 없다. 이에 새로운 AI 모델들이 등장하더라도, 기업에서 이를 빠르고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한편, 파수는 기업 AI 전략을 돕기 위해 프라이빗 LLM ‘엘름(Ellem)’ AI 데이터 ‘랩소디’ AI 거버넌스 ‘AI-R DLP’ ‘AI-R DHC’ 제품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다.
"이젠 기업이 선택받는 시대…초핵심 인재 확보가 성패 가른다"(종합)
2025-04-22 17:51:03[DD퇴근길] "11일만에 매출 100억"…넷마블, 'RF온라인'으로 재도약 시동
2025-04-22 17:09:02LG전자, 도요타 ‘우수 공급사’ 선정…"전장공급 역량 인정"
2025-04-22 17:00:00"5월 출시 예정 상품을 미리 공개"… 삼성화재, ‘언팩 컨퍼런스’ 개최
2025-04-22 16:4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