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프린팅/디바이스

가슴 쓸어내린 애플·닌텐도…美, 전자제품 관세폭탄 예외 적용

김문기 기자

[사진=생성형AI 이미지]

[디지털데일리 김문기 기자] 미국 정부가 중국산을 포함한 스마트폰, 노트북, 반도체 부품 등 주요 전자제품에 대해 고율 관세를 예외 적용하기로 결정하면서, 애플·닌텐도 등 글로벌 IT 기업들이 한숨을 돌렸다.

12일(현지시간)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은 전자제품 수입과 관련된 새로운 면제 지침을 발표하고, 지난 9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발효한 최대 145%의 중국산 추가 관세 및 글로벌 10% 기본 관세 대상에서 ▲스마트폰 ▲노트북 ▲하드드라이브 ▲프로세서 ▲메모리 칩 등을 제외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에는 반도체 제조 장비도 포함되면서, TSMC(대만 반도체 제조사)와 같은 글로벌 팹리스·파운드리 업계도 직접적인 타격을 피할 수 있게 됐다. 이에 따라 트럼프 관세 시행에 따른 전자제품 가격 급등 우려는 일단 해소됐다는 평가다.

다만, 외신 블룸버그는 이번 면제는 일시적일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미국 정부는 같은 날 별도 메모를 통해 소액 직구(shipping duties)에도 완화 조치를 적용한다고 밝혔으나, 중국 정부의 펜타닐 단속을 압박하기 위한 20% 관세와 과거부터 유지한 다른 무역 제재 조치는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기 때문.

이번 예외 조치는 지난 2주 간 이어진 혼란의 연장선이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자국 제조업 보호를 명분으로 중국에 대해 강도 높은 무역 압박에 나섰고, 이에 따라 닌텐도는 스위치2의 미국 예약 판매를 돌연 중단한 바 있다. 애플은 인도에서 생산한 600톤 분량의 아이폰을 긴급 수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기업은 가격 인상에 나서기도 했다. 소니는 신형 TV 가격에 관세를 반영했고, 원플러스도 스마트워치 가격을 인상하기도 했다.

한편, 이번 면제로 인해 델, HP, 마이크로소프트, 레이저 등 미국 내 주요 IT 제조사들도 재고 확보와 가격 안정화 측면에서 시간을 벌게 됐다.

김문기 기자
moon@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