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도나도 지브리 프사에…챗GPT 가입자 5억명 돌파
[디지털데일리 이나연기자] 오픈AI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챗봇 서비스 '챗GPT' 이용자가 5억명을 넘겼다. 올해 초부터 새로운 AI 모델을 대거 선보이며 기능을 강화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1일(현지시간) 오픈AI는 챗GPT 가입자가 지난달 말 기준 5억명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2022년 11월 챗GPT가 처음 출시된 이후 2년4개월만이다.
챗GPT 이용자는 지난해 말 3억5000만명에서 3개월 만에 30% 이상 급증했다. 오픈AI는 올 연말까지 이용자 10억명을 모으겠다는 목표다.
오픈AI는 지난 1월 고급 추론(reasoning)이 가능한 AI 소형 모델 'o3 미니'를 출시했다. 이어 인터넷을 탐색해 식료품을 구매하거나 비용 보고서를 작성하는 AI 에이전트(비서) '오퍼레이터'를 선보였다.
2월에는 최신 AI 모델 GPT-4.5를 리서치용 미리보기 방식으로 출시했다. 인터넷에서 복잡한 연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딥리서치'도 공개한 바 있다.
특히 지난달 25일 신규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생성 기능이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이 모델은 "내 사진을 지브리 화풍으로 그려줘"와 같은 간단한 명령만으로 고품질 이미지를 빠르게 만들어낸다.
최근 많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챗GPT-4o 이미지 생성 기능을 활용한 이른바 '지브리 프사(프로필 사진)'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올트먼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27일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그래픽처리장치(GPU)가 녹아내리고 있다"며 이용자가 몰려 GPU가 녹아내릴 정도로 서버가 과부하를 일으키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31일에는 "지난 한 시간 동안 100만명 사용자가 추가됐다"며 이는 챗GPT 출시 초기 100만명 달성에 5일이 걸렸던 것과 비교하면 엄청난 속도라고 전했다.
이 AI 모델은 챗GPT 유료 구독자는 물론, 무료 이용자에게도 제공된다. 다만 무료 사용자는 하루에 최대 3개 이미지만 생성할 수 있는 등 제한이 있다.
오픈AI는 현재 유료 이용자만 사용할 수 있는 '딥리서치'도 무료 이용자에게 열 예정이다. 이에 챗GPT 이용자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유영상 SKT 대표, “위약금 면제 시 약 2500억원 손실 추정… 종합검토”
2025-05-08 16:11:42[컨콜] SKT 해킹 여파 속 LGU+ "모든 서버 전수검사…특이사항 없어"
2025-05-08 16:06:43콘텐츠 매출 16%↓…카카오, 실적 부진 속 ‘선택과 집중’ 본격화 (종합)
2025-05-08 16:03:46"엄마, 유심 바꿀 건데 답장 줘" SKT 해킹 악용한 피싱 '주의보'
2025-05-08 15:47:53비상장주식· 조각투자· 주식 소수단위 거래, 샌드박스 졸업한다… "자본시장법으로 제도화"
2025-05-08 15:2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