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 'CxO 서클 2025' 성료…"한류시장 300조 규모로 성장할 것"
[디지털데일리 조윤정기자]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은 숏폼 콘텐츠를 활용한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기업의 브랜딩 및 이커머스 성공 전략을 논의했다.
틱톡이 주최하는 ‘틱톡 CxO 서클(Circle) 2025’가 27일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에서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C레벨들을 위한 네트워킹과 인사이트 공유를 목적으로 기획됐으며, '고 글로벌 위드 틱톡(Go Global with TikTok): K브랜드를 넘어 글로벌 트렌드로’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이번 행사는 틱톡코리아의 매티 린 신임 제너럴 매니저가 처음으로 개최하는 고객사 대상 행사다. 미디어와 테크, 이커머스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을 쌓은 매티 린은 광고 비즈니스를 책임지는 글로벌 비즈니스 솔루션 조직의 수장으로 새롭게 부임했다. 틱톡은 "린이 글로벌 시장에서의 전략적 시각과 지역별 시장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 시장에서 비즈니스 확장과 파트너십 강화를 이끌 계획"이라고 밝혔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김상균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교수가 연사로 나서 '숏폼 시대의 한류, 짧지만 강한 콘텐츠로 승부하다'라는 주제로 숏폼과 한류, 비즈니스 성장의 관계를 인지과학적으로 분석했다. 김상균 교수는 "최근 한류 연관 제품의 두드러지는 수출 성장은 짧고 몰입도 높은 숏폼이 기여한 결과"라며 "숏폼의 장점을 살린 스토리텔링으로 감정적 공명을 만들면 더 강한 한류를 이끌어 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틱톡, K-브랜드의 글로벌 비즈니스 성공 파트너’라는 주제로 틱톡이 글로벌 시장에서 K-브랜드의 성공을 어떻게 지원할 수 있는지를 조망했다. 틱톡코리아 매티 린 제너럴 매니저가 직접 무대에 올라, 틱톡 내 K-컬처 및 K-브랜드의 위상과 성공 요인, 그리고 미래 성장전략에 대해 이야기했다.
틱톡은 "한류 시장이 음식, 뷰티, 음악, 드라마 등의 분야에 여전히 큰 잠재력으로 2030년에는 1980억달러(290조502억원)의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틱톡은 브랜드들에 실시간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AI로 광고 소재를 개발할 수 있는 틱톡 심포니, 콘텐츠 시청부터 쇼핑까지 구매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지는 틱톡샵에 이르기까지, 산업별·규모별 맞춤 솔루션을 제공해 글로벌 시장에서 보다 가시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매티 린 제너럴 매니저는 “K-브랜드가 글로벌 트렌드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새로운 콘텐츠 소비 패턴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하다”라며 “CxO 서클을 통해 나눈 틱톡의 인사이트가 브랜딩부터 커머스까지 실질적인 비즈니스 결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브랜드 및 에이전시의 리더십과 깊이 있는 논의를 꾸준히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명품 플랫폼 '발란', 결국 기업회생절차 신청…"M&A 추진"
2025-03-31 13:53:01[IT클로즈업] KT-MS 야심작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를 바라보는 두 관점
2025-03-31 13:42:05카네비모빌리티, 현대차에 5G 무선단말기 공급…美·울산 공장에 적용
2025-03-31 13:41:04LG헬로비전, '헬로 리더스 어워드' 개최 …케이블TV 정책 성과 전국에 공유
2025-03-31 13:07:25“KT는 통신사”vs“무분별한 자산 매각”...주총서 부동산 매각 두고 설전
2025-03-31 13:06: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