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S·블랙핑크 나이스"…68만 빅데이터로 본 최고 한류는 'K-팝'
[디지털데일리 채성오기자] 방탄소년단(BTS)·블랙핑크 등 국내 아티스트들의 음악과 문화가 담긴 'K-팝' 장르가 지난해 최고의 한류 콘텐츠인 것으로 집계됐다.
25일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는 한국문화정보원(원장 정운현)과 함께 2023년 10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외신 기사 및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 한류 관련 자료 68만 건을 수집·분석해 정리한 '2024년 글로벌 한류 트렌드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2023년 4분기부터 지난해 3분기까지의 연간 보고서 1종과 분기별 보고서 4종 등 총 5종의 보고서로 구성됐다.
이번 분석은 문체부가 운영하는 전 세계 30개국 35개 재외한국문화원과 협업해 470여개 이상의 현지 언론에서 보도한 한류 관련 외신을 한국어로 번역한 자료 7640건과 유튜브, 엑스(옛 트위터) 등 온라인 자료 67만5762건을 추가 수집해 진행했다.
먼저 대륙별로 한류 현황을 살펴보면 아시아(50.6%), 유럽(27.5%), 북미(13.6%) 순으로 한류 관련 기사가 많이 보도된 것으로 나타났다. 콘텐츠별로는 아시아, 유럽, 중남미 대륙에서는 K-팝 콘텐츠 관련 비중이 가장 높았고 북미, 아프리카, 오세아니아에서는 한국 음식(K-푸드)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북미 대륙은 ▲김치의 날 제정 ▲김치의 효능 ▲불닭볶음면의 유행에 관한 보도와 언급이 많았다.
국가별로 보면 인도, 미국, 태국, 튀르키예 순으로 한류 관련 보도가 많았다. 인도, 태국, 필리핀에서는 K-팝 비중이 높았으나 나이지리아, 미국, 영국에서는 K-푸드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튀르키예에서는 한국 드라마 콘텐츠가 높은 비중을 차지한 반면 중국의 경우 한국 영화에 대한 관심이 가장 많았다.
K-푸드 가운데선 '김치'에 대한 관심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온라인에서도 김치가 꾸준히 상위 화제로 등장하며 관련 핵심어로 '매운(spicy)', '맛있는(delicious)' 등이 함께 출현했다.
김치 외에도 ▲소주 ▲치킨 ▲비빔밥 ▲불닭볶음면 등이 K-푸드 관련 주요 화제어로 꼽히는 데, '먹방(mukbang)'은 매분기 꾸준히 언급되며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단어로 자리잡았다고 문체부는 설명했다.
채수희 문체부 해외홍보정책관은 "해외 자료를 기반으로 한 글로벌 한류 트렌드 분석은 문체부의 해외 미디어 분석 역량이 집약된 것"이라며 "국가·대륙별 맞춤형 한류 정책 전략과 사업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분석 자료를 적기에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문체부와 문정원은 지난 2022년 12월, 한류 외신 데이터 분석과 시각화 자료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이래 매주 150여건의 문화·한류 데이터를 분석한 '주간 한류 외신 동향 키워드'와 분석 기초자료(로우데이터)를 무료로 공개하고 있다.
한국신용데이터-대전시, 제4인뱅 '한국소호은행' 본사 대전에 설립 추진
2025-02-25 18:02:22[데스크칼럼] 금리인하가 만병통치약인가… '고환율' 대책은?
2025-02-25 18:01:59적자폭 줄인 티맵모빌리티, 우티 이어 전동킥보드도 접는다
2025-02-25 17:48:34SK스퀘어, 작년 영업익 3조9126억원 ‘사상최대’...매출은 전년比 16.2%↓
2025-02-25 17:29:51[DD퇴근길] "오픈AI 올라타자"…韓 AI 동맹전선 윤곽 언제쯤?
2025-02-25 17:2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