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밸류業금융⑪] 신한금융 ‘진옥동 號’의 흥미로운 디지털 성과… "판관비 늘어도 인건비는 감소"
[디지털데일리 박기록기자] 국내 5대 금융그룹을 비롯해 주요 금융회사들이 맹렬하게 ‘디지털전환’(DX)을 부르짖고 있지만 정작 그 성과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사례는 드물다.
디지털 성과를 수치화하고, 또 이를 객관화하는 것이 쉽지않기때문이기도하지만 실제로 내부적으로 쉬쉬하면서 감추고 있는 ‘디지털 실패’의 사례 또한 적지않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신한금융그룹의 매 분기 실적발표때마다 참고자료로 제시하는 ‘디지털 성과’(Digital to Value)는 매우 흥미롭다. 5대 금융지주사중 유일하다.
신한금융은 실적 부진을 이유로 그룹내 AI전담 계열사인 ㈜신한AI를 출범 5년만에 청산할 정도로 험난한 시행착오의 여정을 걷고 있다.
하지만 그런 가운데서도 최근 보여지는 수치는 숫자 그 이상의 놀라운 변화라서 더욱 관심이 간다. 무엇보다 여기에는 사람의 노동력을 대신하는 AI(인공지능)과 초자동화의 성과가 녹아들어 있기 때문이다.
◆‘디지털‧초자동화’의 재무적 성과… 신한금융그룹에 얼마나 기여했을까
신한금융그룹은 올 상반기 기준, ‘디지털영업이익’(경비차감전 기준)을 총 1조1070억원으로 계산했다. 작년 상반기와 비교했을 때 6%(약 640억원) 증가했다. 앞서 2년전인 지난 2022년 상반기와 비교해선 28.8% (약 2220억원)이나 급증했다.
신한금융은 ‘디지털영업이익’을 디지털금융상품 취급액 및 주식거래 수수료 증가 등을 합산한 것이라고 규정했다.
놀라운 것은 올 상반기, RPA(로봇프롯세스자동화)를 비롯한 챗봇 활성화, 업무 자동화 등 ‘초자동화’(Hyper Automation)의 결과다.
인건비 등 업무수행에 따른 비용절감이 총 2860억원으로 계산됐다. 작년 같은기간과 비교해 35%(약 740억원)이나 좋아졌다.
특히 신한금융측은 “프로세스 효율화영역에서 전년 동기대비 59% 개선된 1051억원의 비용절감효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결국 디지털기반의 판매 플랫폼 활성화에 따른 디지털영업이익과 업무프로세스 혁신에 따른 인건비 절감 효과를 합치면, 그에 따른 경제적 효과가 1조4000억원에 육박한다.
◆‘그룹CIR’ 항목에서 전년동기대비 판관비 늘었지만 ‘인건비’는 오히려 감소… 디지털화 효과 ‘톡톡’
이같은 디지털전환 노력의 결과, 눈여겨볼 수치는 그룹 CIR(영업이익경비율)이다. 신한금융그룹의 올 상반기 ‘누적 CIR’은 36.7%를 기록했다.
주요 그룹사 영업확대 등에 따른 제세공과금 증가, 광고선전비 및 용역비 집행으로 전분기 대비 7.2% 증가했으며, 전년동기 대비로는 1.6% 증가했다.
그러나 판관비의 주요 항목인 '인건비'는 전분기대비 0.1% 증가하는 수준으로 관리됐고, 전년 동기 대비로는 오히려 –1.9% 감소했다. 디지털 및 초자동화 프로세스 혁신에 따른 인력 절감이 결국 그룹 CIR지표 관리를 안정적으로 양호하게 이끌었다고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참고로, 지난 한 해 신한금융의 그룹 판관비는 총 5조8950억원이다. 올해 상반기까지는 2조8440억원(누적)이다.
◆ 2분기 AI챗봇 MAU 130만명 등 ‘편리한 디지털’ 성과… ‘주담대 대출 이동’분야에서도 점유율 1위
신한금융그룹이 공개한 디지털활성화 지수는 가장 주목해야할 ‘생물’ 데이터이다. 이 변화 무쌍한 데이터에서 디지털화 수익이 창출되기 때문이다.
먼저 올 2분기말 기준, AI챗봇 또는 음성봇 등 신한금융의 ‘월간 AI 서비스’를 이용하는 활성 이용자수(MAU)는 452만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분기대비 21%나 급증한 수치다.
이기간 AI챗봇 MAU가 130만명, AICC(AI기반 컨텍센터) 이용자수가 210만명을 상회했다. AI를 활용하지 않았다면 보다 고비용 채널을 이용했을 고객들이다.
또 올 2분기, 신한은행 등이 기업들과 금융플랫폼을 통해 비즈니스를 공유하면서 진행하는 B2B금융솔루션 사업, 즉 BaaS 이용금융은 1334억원(누적)이다. 제휴를 통해 BaaS를 제공하는 기업은 현재 45개사에 달한다.
주담대 대출이동 실적의 경우, 26%를 기록해 현재 주담대 시행기관중 시장점유율을 1위(대출이동 유입액기준)을 기록했다. 디지털 플랫폼에 익숙한 고객층이 두터워지면서 자연스럽게 선순환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신한금융의 대표 디지털뱅킹플랫폼인 ‘슈퍼SOL’의 경우, 올 2분기 이용고객은 481만명으로, 전부기 392만명보다 23%나 급증했다.
신한금융측은 ‘슈퍼SOL’의 경우, 전용상품 출시, 외부제휴, 가입절차 간소화 기반 고객확대 전략으로 이용자 및 교차고객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교차고객’이란 슈퍼SOL내 신하그룹사 2사 이상 거래고객을 말한다. 이같은 교차고객도 214만명으로 전분기 184만명과 비교해 16% 증가했다.
아직 ‘생성형AI’가 본격적으로 디지털금융플랫폼에 장착되기 전이기 때문에 기존 신한금융의 성과에 과도하게 의미를 부여하기는 이르지만, 신한금융의 입장에선 충분히 디지털 성과에 대한 동기부여의 선순환이 이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된다.
北소행 사이버 공격은 티가 난다…'북한식 표현' 살펴보니
2025-04-04 08:08:33[단독] 유료방송 위기여파 PP로…“콘텐츠 사용료 약 1200억원 감소 전망”
2025-04-03 17:44:35문체부, 글로벌 무대에 'K-안무저작권 안내서' 알린다
2025-04-03 17:15:39[DD퇴근길] 5대 AI에게 물었다…"尹 탄핵심판 결과, 어떨 것 같니?"
2025-04-03 17:1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