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시청점유율 1위, 지상파는 KBS·종편은 TV조선
여기서 말하는 시청점유율은 '시청자의 총 시청 시간 중 특정 방송채널의 시청 시간이 차지하는 비율'로 시청률과는 개념이 다르다. 한 방송사업자의 시청점유율은 30%를 초과할 수 없다.
방송통신위원회는 14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1년도 방송사업자 시청점유율 산정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294개 TV 방송사업자다. 지상파 가운데선 KBS의 시청점유율은 22.555%로 압도적 1위를 기록했다. 이어 MBC(9.868%), SBS(7.738%), EBS(1.792%) 순으로 집계됐다.
종편은 TV조선이 10.677%, JTBC(7.152%), 채널A가 4.713%, MBN이 4.108% 순이었고 보도전문채널은 YTN 3.267%, 연합뉴스TV 3.009%였다.
이 밖에 주요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는 CJ ENM이 11.523%로 가장 높았고 현대HCN 2.55%, SK브로드밴드 0.337%, CMB 0.007% 순으로 조사됐다. 위성방송 사업자인 KT스카이라이프는 2.624%로 집계됐다.
TV 방송과 일간신문의 매체 영향력 차이를 의미하는 매체 교환율은 0.36으로 조사됐다. 일간 신문이 갖는 영향력이 TV 방송의 36% 수준이란 의미다. 또, 지난해 신문사의 광고 매출은 1조3050억원으로 방송사(3조1220억원)의 42%에 불과했다.
시사 정보 이용률은 TV 방송이 79.74%, 일간신문이 30.26%로, 시사 정보 이용 시간은 TV 방송이 53.13분, 일간신문이 11.76분으로, 매체 의존도는 TV 방송이 56.83%, 일간신문이 16.11%로 나타났다.
미디어다양성위원장인 김효재 방통위원은 이날 방통위 전체회의에서 "매체 교환율을 보면 일간 신문 영향력이 2019년 41%, 2020년 39%, 2021년 36%로 지속해서 감소하고 있다"며 "또 지상파와 종편, CJ ENM 등 다른 PP 간 점유율 격차가 줄고 있다"고 설명했다.
내 차는 안전할까?…“SKT 해킹사고로 IoT에서 2차피해 우려”
2025-04-30 11:25:12유영상 SKT 대표 “해지 위약금 면제, 종합 검토하겠다”
2025-04-30 11:23:25'3400만 사용자' 네이버페이(Npay), 올해 10주년… "100억원 쏜다"
2025-04-30 10:50:49신한금융, CDP 플래티넘 클럽 4년 연속 편입…ESG 인정 받아
2025-04-30 10:37:39“음악 감상하고 현금받고” … 뮤직카우, ‘음감사’ 포인트 실시간 현금 전환
2025-04-30 10:36: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