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에너지 공급망 재편 가속화…"美·EU,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성장 추진"
- 에너지 공급망, 경제 이슈→ 안보 이슈
- 재생에너지 관련 전력망 구축에만 893조원
[디지털데일리 정혜원 기자] 에너지 안보와 자립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관련 세계적으로 관련 인프라 투자가 확대될 전망이다. 특히 재생에너지 발전을 중심으로 한 전력망 보강·신설과 관련한 투자가 늘어날 것으로 관측됐다.
7일 하이투자증권 이상헌 연구원은 “글로벌 에너지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이 심화되며 촉발된 고유가와 에너지 공급망 교란은 지난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극대화됐다”며 “글로벌 에너지 공급망 형성의 기준이 됐던 경제논리가 이제는 안보논리로 변화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에너지 공급망이 안보 논리에 따라 재편되면서 이해관계를 공유하는 국가 간 경제블록을 형성해 생산체계 및 공급망을 안정화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이 연구원은 이러한 움직임이 에너지 공급망 재편 및 재확충 등으로 이어져 관련 투자가 활발하게 진행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관련 투자는 ▲미국 ▲유럽 ▲중동 지역에서 크게 늘어날 것으로 관측됐는데 재생에너지 사용을 확대하려면 ▲신규 발전 설비 확충 ▲노후화 설비 교체 ▲기존 전력망 보강 ▲신규 전력망 확충이 뒷받침돼야 한다.
이 연구원은 “무엇보다 재생에너지 발전원이 작은 규모로 수요지 인근에 설치되려면 배전망 구축 투자금 증가 폭이 향후 수십년간 더욱 커질 뿐만 아니라 원거리 지역의 신재생에너지 전력을 수요지 인근으로 송전하기 위한 송전망 투자도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특히 출력변동이 잦은 신재생에너지의 특성을 고려해 기존 발전기, 에너지저장장치(ESS), 수요반응자원 등의 출력을 탄력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어 ESS와 수요 반응(DR)이 기여하는 비율이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글로벌 전력망 투자비는 2020년 연간 2350억달러에서 2050년 연간 6360억달러로 30년 새 약 170% 증가할 것으로 관측됐다.
우리나라도 지난해 말 전력계통 혁신방안에 따라 재생에너지의 안정적 전력계통 운영을 위한 전력망 보강에 2030년까지 총 78조원의 투자가 필요한 것으로 추산됐다.
앞서 미국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통해 4370억 달러를 보조금 및 세액공제 등의 형태로 친환경 에너지 산업 육성, 청정연료 사용 자동차 산업 지원, 기후변화 대응 노력에 투입한다.
법안에 따르면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소비자의 비용을 감축하고 재생에너지 생산 및 저장 시설의 국내 제조 지원 확대 등이 이뤄진다.
유럽의 경우 에너지 수입시장에서 러시아 의존도가 높았다. 하지만 러시아가 에너지 수출을 무기화하면서 유럽은 역내 에너지 안보 강화를 위해 에너지 수입시장에서 ‘탈러시아’를 선언했다.
이에 유럽연합(EU)는 재생에너지 관련 인프라 등에 대규모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45%(1236기가와트)로 상향 조정 ▲천연가스 비축 의무 법제화 ▲천연가스, 수소 자발적 공동 구매 에너지 플랫폼 조성 및 인프라 최적화 ▲역내 1000만톤 수소 생산능력 확보 및 추가 1000만톤 수소 수입원 확보 ▲유럽 내 바이오메탄 생산 역량 35Bcm(350억입방미터)로 확대 등의 계획을 발표한 상태다.
고유가가 이어지면서 국가 재정 흑자를 보고 있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액화천연가스(LNG) 생산 확대를 추진 중인 카타르 등 중동 국가도 재생에너지 인프라 확충에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사우디아라비아는 2017년 발표한 ‘네옴시티 프로젝트’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됐다. 네옴시티 프로젝트는 사우디아라비아 북서부 홍해 인근 2만6500㎢ 부지에 탄소중립의 친환경 스마트 도시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총사업비가 최소 500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산돼 세계 최대 규모 인프라 사업으로 간주된다. 이 연구원은 관련 발주가 2030년까지 4~5단계에 걸쳐 지속될 것이라고 봤다.
한싹, 올해 3분기 12억원대 손실…AI 투자·인콤 인수 영향
2024-11-15 15:44:00“금융권 책무구조도, 내부통제 위반 제재수단으로 인식 안돼”
2024-11-15 15:19:319월 국내은행 가계·기업대출 연체율 하락…"분기말 연체채권 정리규모 확대 때문"
2024-11-15 15:11:10'2조 클럽' 삼성생명, 삼성화재에 순익 앞서며 자존심 회복… 올해 '맏형' 자리는 누가?
2024-11-15 15:0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