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 개발 속도, AI로 크게 앞당길 수 있지만… 현실적인 걸림돌은?
[디지털데일리 강민혜 기자] 인공지능(AI) 기반 협력으로 신약 개발을 앞당길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화종 한국제약바이오협회 AI신약개발지원센터장은 26~27일 양일간 진행된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프레스 웨비나서 'AI 신약 개발, 어디까지 왔나' 세션 연사로 참석, 한국 제약 기업의 신약 개발에는 ▲정부 ▲경쟁사 ▲프로그램 업체 등 관계자들이 AI 기반 데이터 모델 프로그램 공유가 도움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훌륭한 과학자에 의지하는 현재를 뛰어넘어 AI 모델을 통해 관계사들이 고품질 연구를 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 제약 분야 혁신, AI 왜 필요한가
김 센터장은 과거의 기업 논리로 AI 기반 신약 개발에 접근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논리 체계 기반으로 결과값을 도출해내는 것이 아닌 데이터 누적에 따른 결과값 바로 도출 방식에 익숙해져야 한다는 설명이다.
그는 "예를 들어 남녀 구분 프로그램은 예전 방식으론 못 짠다. 딱 보면 맞추는 거다. 그건 논리가 아니라 많은 사진 보고 판단 능력 생긴 데이터 사이언스 일환이다. 컴퓨터도 그걸 한다"며 "제약 분야 개발 단계에도 적응하면 마찬가지"라고 설명했다.
인간이 단계별 검증을 통한 신약 개발에 익숙했던 과거와 달리 AI 프로그램 기반 도출값이 바로 나오는 것을 그대로 받아들여야 다음 단계로의 도약이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그는 "작년 한해 신약 개발 투자액이 2019년 대비 월등히 늘었다"며 "코로나19 영향 외의 것도 있다. 글로벌 제약사들이 AI 제약사와 파트너십 맺고 있다. 질병 메커니즘을 프로그램서 이해하거나 생물학 연구를 가속화하는 틀에서 계약하는 것이다. 스펙트럼을 넓히는 기업이 신약 개발도 잘할 것이다. 이런 배경을 잘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 디지털 생물학 시대 앞당긴다?
김 센터장은 제약 사업에 AI를 도입하면 디지털 생물학을 통해 정밀 의료 시대를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 전망했다.
그는 "AI를 제약 산업에 도입하면 위험, 시간, 돈 줄여 안전성, 효율성 높인다"며 "또, 특허는 피하면서 효능은 비슷한 물질을 컴퓨터가 대신 찾아줄 수 있다. 각자 쌓인 데이터가 점점 많아진다. 개인 프로필, 생활습관, 라이프스타일 등 따라 분류도 된다. 앞으로 더 늘어날 것이다. 이제 시작이라 얼마나 발전할지 모른다"고 AI 활용성을 높이 평가했다.
그는 "정밀 의료시대가 올 것"이라며 "지금은 정밀의료가 어려운 것처럼 느껴지지만 머지않아 이뤄질 것이다. AI가 실제 신약 개발에 쓰인 사례도 있다. 지난해 4년 걸리던 것을 12개월만에 했다는 사례가 있다. 최근 이걸 8개월로 줄일 수 있다는 보고도 나왔다. AI 덕에 시간이 단축됐고 많은 데이터를 한 번에 볼 수 있어 이런 사례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 정답은 협력?
뒤숭숭한 정국에도 매서운 이복현… "금융지주사 검사 결과 발표, 원칙대로 '매운맛' 유지"
2024-12-20 17:36:50[DD퇴근길] 우티, 티맵 손 떼고 우버 단독체제…넷플릭스에 올라탄 SBS
2024-12-20 17:11:09[2024 IT혁신상품] 실효성과 안정성 갖춘 제로트러스트 솔루션 'SGA ZTA'
2024-12-20 17:1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