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어르신도 노린다” 통신사, 교묘한 ‘알뜰폰’ 가입자 뺏기

최민지
[디지털데일리 최민지기자] 일부 통신사가 여전히 암암리에 ‘알뜰폰 가입자’를 뺏고 있다. 자급제 단말 활성화와 함께 알뜰폰시장이 급성장하면서 1000만명 가입자를 눈 앞에 두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일부 통신사는 알뜰폰을 사용하는 고령층인 어르신까지 통신사로 번호이동 시키는 정책까지 도입해 빈축을 사고 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제휴정책’, KT는 ‘DB마케팅’을 통해 알뜰폰 추가 정책을 집행하고 있다. 주로 온라인 채널에서 활동하는 일부 판매점에게만 내리는 폐쇄적인 정책으로, 법망을 피하기 위해 판매장려금 규모는 구두로만 알려준다.

온라인상에서 “갤럭시노트20 10만원”과 같은 광고를 누구나 한 번쯤은 본 적 있을 것이다. 이를 클릭해 해당 링크로 넘어가면, 결론적으로 고객정보 수집에 동의해야 한다. 여기서 모은 정보를 통해 전화 영업에 나선다. 이중에서는 알뜰폰 고객 리스트를 보유한 곳들도 상당수다. 정상적인 도매‧소매채널에서는 전화 영업을 통한 단말 개통은 전무하다. 대리점과 판매점에서는 휴대폰 판매를 위해 신분증 스캐너를 이용, 서류를 접수해야 한다. 비대면 방식인 온라인 채널에서는 신분증 스캐너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제도적 허점을 악용했다. 이들은 주로 알뜰폰을 사용하는 고령층 어르신에게 전화를 걸어 단말값 공짜에 위약금까지 물어줄 테니, 통신사로 이동하기를 권유한다. 주로 2~3만원대 이상 요금제를 요구한다. 음성과 문자를 기본 제공하고, 400Kbps 속도로 데이터를 계속 사용할 수 있는 알뜰폰 요금제는 8900원선이다. 이보다 저렴한 요금제도 많다. 이들은 더 높은 금액을 지불하고 통신사 요금제로 전환하는 셈이다.

유통망은 50만원 이상 판매장려금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알뜰폰 가입자 유치를 전개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 지난달 KT는 ‘우리가족 스마트폰 활성화 정책’을 진행했다. 만 65세 이상, 18세 이하 스마트폰 가입자를 대상으로 삼성전자 ‘갤럭시A31’ ‘갤럭시A51’, LG전자 ’Q51’ ‘Q61’ 등에 가입하면 추가 장려금 5만원을 지급한다는 내용이다. 65세 이상 가입자는 월 2만2000원 ‘순골든 20’ 이상, 18세 이하 가입자는 월 1만9800원 ‘Y주니어’ 이상 요금제에 가입해야 한다.이번달 해당 정책은 종료됐지만, 이를 통해 유통망은 약 55만원까지 판매장려금을 받을 수 있었다.

SK텔레콤은 3만3000원 요금제부터 시작한다. 65세 이상이면 기초연금 할인, 25% 선택약정할인 등을 추가로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입자 전환을 이끌기 유리하다고 보고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주로 30만원 미만인 19만8000원~27만5000원 단말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어르신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며 “알뜰폰 타깃이 기존 통신사 번호이동보다 수수료(판매장려금이)가 훨씬 많이 남는다”고 말했다.

이어 “전화영업으로 구매하는 목적이 공짜폰인 만큼, 20만원짜리 단말값을 모두 지원해도, 30만원가량 남기 때문에 알뜰폰 가입자를 번호이동으로 통신사로 넘기기 수월했다”며 “LG유플러스는 지난해까지 알뜰폰 타깃 정책을 하다, 지금은 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LG유플러스는 알뜰폰 꿀조합 이벤트 등을 직접 펼치며, LG유플러스망 알뜰폰 가입자 늘리기에 주력하고 있다. 실제 통신3사 중 알뜰폰 가입자 비중이 가장 빠르게 늘어나는 통신사다. 이로 인해 알뜰폰 가입자 번호이동에 소극적으로 변한 것으로 해석된다.

통신3사는 5G 과열경쟁으로 규제당국으로부터 제재를 받은 바 있고, 시장안정화 요구를 끊임없이 받고 있다. 이에 모니터링이 심한 5G시장보다 규모가 작은 알뜰폰 쪽으로 눈을 돌린 것으로 보인다. 현재 이들의 무선 가입자당평균매출(ARPU)이 높지 않지만, 알뜰폰에서 통신사 고객으로 자리한 것만으로도 장기적으로 5G 고객으로 유치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진다.

앞서 통신사는 지난해 알뜰폰 가입자 뺏기 심화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 경고까지 받은 바 있다. 최근 소강상태를 보이는 듯 했으나, 더 폐쇄적이고 음성적인 채널을 활용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 관계자는 “알뜰폰 가입자를 타깃으로 하는 곳은 점점 폐쇄적으로 변해가고 있고, 통신사 자회사 등에서 진행하기도 한다”며 “정부에서 경고를 받은 후 더 음성적으로 들어간 편”이라고 부연했다.

한편, 방통위는 통신사 알뜰폰 가입자 뺏기와 관련해 유의미한 수치가 나타나지 않는 만큼 당장의 규제 권한을 행사하기 어렵다는 판단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알뜰폰 가입자는 매월 순증하고 있다”라며 “그런 정책이 있더라도, 시장에 미친 영향력은 미미하기에, 이를 하나하나 찾아 조사할 수는 없다. 시장을 왜곡하는 문제가 생긴다면 살펴보겠다”고 전했다,

<최민지 기자>cmj@ddaily.co.kr
최민지
cmj@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