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SK하이닉스, 인텔 낸드 품고 ‘퀀텀점프’…삼성 이어 2위 도약 (종합)

김도현
- D램 의존도 낮추기 ‘지속’…인텔 中 다롄 공장도 인수

[디지털데일리 김도현기자] SK하이닉스가 낸드플래시 업계를 뒤흔든다. 인텔의 낸드 사업을 인수하고 단숨에 2위로 도약한다. 상대적으로 약세였던 낸드 분야를 강화하고 D램 의존도를 낮출 수 있게 됐다.

◆SK하이닉스, 인텔 낸드 사업부 인수=20일 SK하이닉스는 인텔의 옵테인 사업부를 제외한 낸드 사업 부문 전체를 양수한다고 밝혔다. 인수 대상은 인텔의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낸드 단품 및 웨이퍼 비즈니스, 중국 다롄 공장 등이다.

계약 규모는 10조3100억원이다. SK하이닉스는 오는 2021년 말 8조192억원, 2025년 3월 2조2912억원을 인텔에 순차 지급한다. 인텔은 최종 거래 종결 시점까지 자회사를 통해 다롄 팹에서 낸드를 생산하고 설계 및 생산 관련 지적재산(IP)을 보유한다. 발생 매출은 SK하이닉스로 이전된다.

SK하이닉스는 “오는 2021년 말까지 주요 국가의 규제 승인을 얻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며 “인수 확정 시 글로벌 낸드 시장에서 선두권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다. 이번 거래가 고객, 파트너, 구성원, 주주 등에 혜택을 주고 메모리 생태계를 성장시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낸드 시장에 파급효과는?=그동안 SK하이닉스는 전체 2위인 D램과 달리 낸드 업계에서 힘을 내지 못했다. 시장조사업체 IHS마킷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낸드플래시 시장점유율은 삼성전자(35.9%) 키옥시아(19%), 웨스턴디지털(13.8%), 마이크론(11.1%), SK하이닉스(9.9%), 인텔(9.5%) 순이다.

SK하이닉스는 이번 인수로 일본 키옥시아를 제치고 2위로 뛰어오르게 된다. 향후 키옥시아와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이로써 D램과 낸드 모두 삼성전자 1위, SK하이닉스 2위 구도가 완성됐다. 전 세계 메모리 업계의 한국 영향력이 더욱 커진 셈이다.

현재 낸드 시장은 ‘적층 경쟁’이 한창이다. 128단이 최대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도달했다. 삼성전자는 다음 제품으로 160단 이상 7세대 수직구조 낸드(V낸드)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SK하이닉스는 후발주자임에도 기술개발 속도는 경쟁사 대비 빨랐다. 현재 176단 4차원(4D) 낸드를 연구하고 있다. 여기에 인텔 낸드 사업을 품으면서 양과 질 모두 향상됐다.

◆SK하이닉스와 인텔에 미치는 영향은?=SK하이닉스는 매출의 70~80%를 차지하는 D램 비중도 낮출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인텔의 올해 상반기 낸드 사업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28억달러(약 3조2000억원), 6억달러(약 6840억원) 규모다. SK하이닉스는 96단 및 128단 비중을 늘리면서 수익성 개선에도 나선 상태다. 3분기 말부터 128단 제품 판매가 본격화됐다.

향후 SK하이닉스는 인텔의 솔루션 기술 및 생산능력을 접목해 기업용 SSD 등 고부가가치 중심의 3차원(3D) 낸드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석희 SK하이닉스 최고경영자(CEO)는 “낸드 기술의 혁신을 이끌어 오던 SK하이닉스와 인텔이 새로운 미래를 함께 만들 수 있게 돼 기쁘다”면서 “서로의 강점을 살려 SK하이닉스는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적극 대응, 낸드 분야에서도 D램 못지않은 경쟁력을 확보하며 사업구조를 최적화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텔은 이번 매각으로 메모리 사업을 접는 것이 아니다. 옵테인을 중심으로 사업을 개편했다. 옵테인은 D램과 낸드의 장점을 섞어놓은 제품이다.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린 낸드 기반의 스토리지에 비해 빠른 응답과 높은 내구성이 강점이다. 매각으로 인한 재원은 인공지능(AI), 5세대(5G) 네트워킹, 자율주행 기술 등에도 투자할 계획이다.

밥 스완 인텔 CEO는 “인텔만이 할 수 있는 차별화된 기술에 우선순위를 두고 투자해 고객과 주주에게 더 많은 가치를 제공하겠다”고 언급했다.

<김도현 기자>dobest@ddaily.co.kr
김도현
dobest@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