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김도현기자] 중국이 반도체 분야에서 중력(重力)을 발휘하고 있다. 지구가 물체를 잡아당기듯 중국이 반도체 관련 인력, 기술 등을 흡수하고 있다는 의미다. 말 그대로 ‘반도체 중력(中力)’이다.
지난 2015년 중국은 ‘중국제조 2025’를 선언했다. 향후 10년간 1조위안(약 170조원)을 투입해 반도체 자급률 70%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다. 절반이 지난 시점에서 눈에 띄는 성과는 ‘메이드 인 차이나’ 반도체가 늘어난 점이다.
삼성전자(시안), SK하이닉스(우시), 인텔(다롄), TSMC(난징) 등 글로벌 반도체 제조사는 중국 공장의 생산량을 늘려가는 추세다. 덕분에 국내외 장비업체의 중국 매출은 급증했다. 중국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CXMT), 양쯔메모리테크놀러지(YMTC), 푸젠진화반도체(JHICC) 등은 ‘반도체 굴기’에 속도를 내고 있다.
중국의 야심은 인재 육성에서도 이어진다. 2019~2021년 동안 최대 2만명 이상의 반도체 전문가 양성이 목표다. 동시에 한국, 대만 등 외국 엔지니어에 연봉 3~4배를 제시하시는 등 물밑 작업을 펼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 2015년 이후 대만 반도체 인력 3000명 이상이 중국으로 넘어갔다.
우리나라 반도체 업계는 속앓이 중이다. 당장은 중국을 통해 매출을 올리고 있지만, 언제 발목 잡힐지 모른다. 일본 수출규제 이후 정부에서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분야 지원에 나섰지만, 체감상 전과 크게 다르지 않다. 중국의 성장세를 알면서도 손을 잡을 수밖에 없는 이유다.
중국이 어떤 식으로 시장을 장악하는지는 디스플레이 사례에서 나타났다. 빼내온 인력과 기술을 토대로 산업에 진입했고, 저가물량 공세로 경쟁사를 밀어냈다. 반도체 중력 효과가 같은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 미·중 무역전쟁으로 중국은 광폭행보를 펼칠 것으로 보인다. 중국에 대한 ‘반도체 구심력’이 필요할 때다. 그 첫걸음은 우리의 인력과 기술을 지켜내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