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뷰2017] 로봇과 하이파이브?…네이버 ‘앰비덱스’는 가능하다
- 어깨 주변에 모터배치·와이어 동력전달 핵심 기술 과시
[디지털데일리 이대호기자] 16일 코엑스에서 개최된 개발자 컨퍼런스 ‘네이버 데뷰(DEVEW)’ 현장에서 주목받은 연구성과는 9종의 로봇이다. 그 중에서도 기조연설 마지막에 발표된 로봇팔 ‘앰비덱스(AMBIDEX)’에 더욱 이목이 쏠렸다.
송창현 네이버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장기적인 로봇 연구과제로 앰비덱스(AMBIDEX)를 내세우면서 “사람과 하이파이브가 가능한 로봇”이라고 소개했다. 이 로봇은 한국기술교육대학교(코리아텍)과 협력해 연구개발되고 있다.
일단 사람과 하이파이브를 위해선 먼저 로봇의 안전성과 유연성을 확보해야 한다. 말은 쉽지만 실제 로봇으로 구현하긴 쉽지 않다. 첫 번째 중요한 것이 로봇팔의 ‘가벼운 무게’다. 무거울수록 운동에너지가 급증하기 때문에 살짝이라도 부딪힐 경우 사람이 다칠 수 있다.
이 때문에 일선 현장에서 사람과 협업하는 2세대 로봇팔의 경우 천천히 움직이다. 로봇팔이 무겁기 때문에 속도를 냈다간 사람이 크게 다칠 수 있다. 말을 바꾸면 로봇팔이 가벼우면 빠르게 움직여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얘기도 된다.
이를 위해서 네이버랩스와 코리아텍은 구동 모터를 어깨 주변으로만 배치했다. 팔꿈치와 손목 관절은 와이어 케이블을 당겨서 움직인다. 최대 하중은 3kg다.
석상옥 네이버랩스 로보틱스 리더는 데뷰 강연을 통해 “모터가 어깨부위에 모여있어 팔 자체가 가벼워졌다”며 “동력전달은 와이어 케이블로 한다. 케이블이 늘어날 수 있는데, (경량 감속 메커니즘을) 잘 설계해서 강성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또 김 조교수는 “팔꿈치, 손목 등 롤링조인트에 와이어를 여러번 감았다”며 “말단부 관절까지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만들었다”고 강조했다. 석 리더도 “사람과 안전한 인터랙션(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독창적 와이어 구조를 채택해 하이파이브가 가능하게 됐다”며 “로봇을 편리한 삶의 도구로 만들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이대호 기자>ldhdd@ddaily.co.kr
포시에스 박미경 대표, 하이서울기업협회 제7대 협회장 취임
2025-02-24 19:53:21AI 자산관리 플랫폼 에임 "이용자 자산 1천억원 대로 늘려"
2025-02-24 19:27:09[현장] "MZ세대가 위험하다"…웹툰·웹소설 불법유통, 도박 및 성매매로 확산
2025-02-24 17:59:29[DD퇴근길] 5G, 진짜 가입자는?…정부, 단말기준 집계 방식 바꿀까
2025-02-24 17:1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