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이정도였나…‘데뷰 10주년’ 맞아 로봇 기술 과시
[디지털데일리 이대호기자] ‘데뷰(DEVIEW) 10주년’은 네이버의 기술 개발 야심이 잘 드러난 자리였다. 지난해 인터넷 포털 기업에서 인공지능(AI) 기술 기업으로 성공적인 이미지 변신을 꾀했다면 올해는 데뷰에서 실제 성과를 들고 나왔다. 기술 선도 기업으로 확고한 위상 굳히기에 나선 모습이다.
올해 데뷰에선 검색 연구 성과부터 앞서 공개한 인공지능(AI) 플랫폼 ‘클로바(CLOVA)’, 웨일 브라우저, 자율주행 기술에 대한 소개와 함께 생활 로봇을 대거 공개해 눈길을 끌었다.
데뷰는 지난 2006년 네이버 사내 개발자 기술공유 행사로 시작해 2008년 문호를 개방, 올해로 10회째를 맞은 국내 최대 개발자 컨퍼런스다. 최신 정보기술(IT) 동향과 개발 노하우를 공유하면서 업계는 물론 학계도 주목하는 행사로 자리잡았다. 올해 데뷰 2차 사전등록은 15초만에 신청이 마감될 정도로 관심을 끌었다. 행사는 16일과 17일 이틀동안 2700명이 참가한 가운데 41개 강연이 진행된다.
이날 가장 주목받은 기술은 ‘생활 로봇’이다. ▲작년 공개한 ‘M1’ 기능개선 로봇 ▲실내 자율주행 서비스 로봇 ‘어라운드(AROUND)’ ▲전동카트 ‘에어카트(AIRCART)’ ▲세계 최초 4륜 밸런싱 전동 스케이트 보드 ‘퍼스널 라스트-마일 모빌리티’ ▲코리아텍과 산학협력으로 개발한 로봇팔 ‘앰비덱스(AMBIDEX)’ ▲MIT와의 산학협력한 ‘치타로봇’ ▲UIUC와 산학협력한 ‘점핑 로봇’ ▲계단을 올라가는 바퀴 달린 로봇 ‘터스크봇’ ▲물체 인식 및 자율주행하는 ‘TT-봇’ 등 9종이 공개됐다.
송 CTO는 “물류, 경비, 안내 등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며 “어라운드는 로봇청소기에 머문 실내 자율주행 서비스를 크게 확장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송 CTO는 “현재 로봇팔은 사람과 하이파이브가 어렵다”며 “매우 안정적이고 동작이 자유롭게 정밀해야 하는데, 앰비덱스는 사람과 인터랙션(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유연성과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해결한 로봇”이라고 힘줘 말했다.
마지막으로 송 CTO는 “사람과 사회가 도구에 얽매이지 않고 인생에서 더 중요한 일을 했으면 한다”며 기술 개발 취지를 알리면서 연설을 마쳤다.
<이대호 기자>ldhdd@ddaily.co.kr
포시에스 박미경 대표, 하이서울기업협회 제7대 협회장 취임
2025-02-24 19:53:21AI 자산관리 플랫폼 에임 "이용자 자산 1천억원 대로 늘려"
2025-02-24 19:27:09[현장] "MZ세대가 위험하다"…웹툰·웹소설 불법유통, 도박 및 성매매로 확산
2025-02-24 17:59:29[DD퇴근길] 5G, 진짜 가입자는?…정부, 단말기준 집계 방식 바꿀까
2025-02-24 17:1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