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까르테에 샤오미…위성방송 OTT, 무엇이 다를까
[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위성방송 사업자 KT스카이라이프가 인터넷 기반의 OTT 서비스 '텔레비(TELEBEE)'를 선보였다. 위성방송은 커버리지가 다른 플랫폼에 넓고, 화질, 채널수 등에서 장점이 있지만 태생적으로 단방향 서비스만 제공할 수 밖에 없다. 최근 방송통신 시장을 강타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방송, 동영상 서비스 제공은 제공하기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요금수준도 지상파 및 종편 등 기본채널을 월 3300원에, 채널당 550원에 제공하는 등 가격정책도 공격적으로 책정했다. 핵심은 셋톱박스다. 구글 운영체제를 탑재한 샤오미의 '미박스'에 스카이라이프의 UI와 비즈니스 모델을 접목했다.
KT스카이라이프는 '텔레비'를 통해 고객층이 적었던 20~30대와 나홀로족 등을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다음은 윤용필 KT스카이라이프 콘텐츠융합사업본부장<사진>과의 일문일답.
- 텔레비(TELEBEE) 브랜드의 뜻은?
: KT스카이라이프는 20~30대 고객을 공략하기 어려웠다. 이미지가 고착화돼있던 것이 사실이다. 젊은층을 공략하기 위해 새로운 브랜드를 만들었다. 텔레비전과 꿀벌이 뭉처서 콘텐츠를 나른다는 뜻이다.
- 알라까르테라고 하지만 지상파 방송과 종편은 골라볼 수 없다. 기존 PP들은 불만일 수도 있는데.
: 처음에는 채널 단위로 알라카르데 하는 것은 물론, 월단위가 아닌 일단위, 주말티켓 등도 고려했다. 하지만 서비스 초기 그러한 서비스 구현은 역부족이었다. 약 10억원이라는 적은 비용으로 시스템 구축하다보니 어려움이 있었다. 앞으로 그런 상품 구성 가능할 수있도록 추진하겠다.
- OTT 사업자로 방향을 바꾼 것으로 봐도 되는지.
: 아니다. 우리는 위성 출발했고 앞으로도 유효하다. 다만, 지금은 무한 경쟁시대다. 과거에는 전송방식을 나눴는데 이제는 하이브리드시대다. 위성만 갖고 경쟁 어려워서 20-30 타깃 창출 공략 위해 만든 것이다.
- 인공지능 스피커 역할도 하는 것인지?
: 별도의 인공지능 스피커를 구매 안하고 미박스 설치하면 구글 인공지능 버전이 배포되면 자동 실행된다. TV 스피커 통해서 이용가능할 것으로 본다.
- MBC 채널은 빠졌는데 이유는.
: 여러 문제가 있다. 올해 말까지 해결될 것으로 기대한다.
- 국내 셋톱박스 업체와 협력은 고려하지 않았는지.
: 우리가 추구하고자 하는 혁신 서비스, 무약정, 채널을 골라볼 수 있는 서비스 실현을 위해서는 기존 운영체제는 너무 무겁다. 그래서 샤오미를 선택했다. 개발 요소가 들어가다보니 일정부분 비용이 상승했다. 해외에서 구매 하는 미박스는 국내에서 사용할 수 있지만 구글에서 제공하는 앱만 할 수 있으며 우리가 제공하는 VOD 등 서비스 구현은 안된다.
- 합산규제 회피를 위한 서비스 아닌가.
: OTT는 아직 규제가 없다. 합산규제 벗어나기 위해 출시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가입자가 100만 200만 되면 모를까 그렇게 폭발적 성장은 아닐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합산규제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본다.
- 콘텐츠 사업자에게 어느정도 수익을 배분하나.
: 초기에는 수익을 나누는 것보다 판권을 구매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다. 콘텐츠 비용이 많이 든다. 수익배분 방식이면 손익분기점을 맞추기 쉽겠지만 20만명 이상이 돼야 손익분기점을 맞출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가입자당 매출은 6000원 정도 기대하고 있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포시에스 박미경 대표, 하이서울기업협회 제7대 협회장 취임
2025-02-24 19:53:21AI 자산관리 플랫폼 에임 "이용자 자산 1천억원 대로 늘려"
2025-02-24 19:27:09[현장] "MZ세대가 위험하다"…웹툰·웹소설 불법유통, 도박 및 성매매로 확산
2025-02-24 17:59:29[DD퇴근길] 5G, 진짜 가입자는?…정부, 단말기준 집계 방식 바꿀까
2025-02-24 17:1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