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공격적 투자 행보…올해 발표 금액만 ‘6000억원+α’
물론 네이버가 ‘6000억원+α’라는 거금을 가까운 시일 내에 모두 집행할 계획은 아니다. 펀드 출자금도 있고 향후 3년 또는 5년간 꾸준히 투자할 금액이다. 네이버의 투자 행보는 미래 기술과 우수 콘텐츠의 확보 그리고 동반성장 3가지를 꼽을 수 있다.
네이버는 올해 1분기 실적발표 후 전화회의(컨퍼런스콜)에서 기술 투자 계획을 언급한 바 있다. 당시 김상헌 네이버 대표는 “앞으로 5년 간 스마트카, 스마트홈, 로보틱스, AI 등에 투자해 실생활과 하드웨어 융합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구체적인 그림은 지난 10월 개발자 컨퍼런스 ‘데뷰(DEVEIW)’와 11월 ‘네이버 커넥트’ 행사에서 드러났다.
데뷰에선 ▲인공지능 대화시스템 ‘아미카(AMICA)’ ▲로보틱스 ▲자율주행 ▲음성합성 ▲인공신경망 번역(NMT) ▲웹 브라우저 ‘웨일’ 등 신기술을 대거 공개했고 네이버 커넥트에선 향후 5년간 5000억원을 국내 콘텐츠와 기술 분야에 투자할 계획을 밝혔다.
한성숙 신임대표 내정자(서비스총괄 부사장)는 “다양한 기술 기반 플랫폼으로 발전해갈 것”이라며 “파트너 업체들의 비즈니스가 글로벌에서 통할 수 있도록 우리 경제의 분수효과 일으키는 빛나는 주인공이 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가 지난 4월 발표한 프로젝트 꽃은 중소상공인의 창업과 콘텐츠 창작자 지원 강화를 골자로 한 투자 계획이다. 향후 5년간 1000억원을 투자한다.
한 내정자는 네이버 커넥트 행사에서 프로젝트 꽃과 같은 취지의 파트너사 투자 계획을 밝혔다. ▲스몰비즈니스의 창업과 성장 ▲건강한 창작 생태계 조성과 창작자의 글로벌 진출에 각각 500억원씩 투자한다. 네이버 측은 “투자가 진행되면서 (프로젝트 꽃과) 교집합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5000억원+α’ 투자에 별도 펀드 출자금만 1000억원=올해 발표한 투자 계획 가운데 가장 큰 덩어리는 네이버 커넥트 행사에서 밝힌 ‘5000억원’이다.
여기에 ▲웹드라마, 웹예능, 뷰티, 키즈, 게임 등 5개 동영상 분야에 연간 50억원씩 3년간 150억원 ▲기존 어학사전 개정과 신규 구축 등 어학사전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향후 5년간 100억원(기존 어학사전 투자비용은 별도 유지) ▲새로운 오디오 콘텐츠를 만드는 제작자들에게 매년 100억원씩 3년간 총 300억원 투자가 포함된다.
네이버가 미래에셋과 1000억원 규모의 ‘신성장투자조합 제1호’를 결성하는 것도 5000억원 투자의 일환이다. 투자조합은 네이버와 미래에셋의 1대1 매칭펀드로 각각 500억씩 투자한다. 미래에셋이 운영 전반을 맡는다.
‘5000억원+α’ 투자에 포함되지 않는 펀드 출자금도 있다. 총 1000억원 규모다.
앞서 네이버가 소프트뱅크벤처스와 콘텐츠 분야에 집중 투자하기 위해 500억원 규모의 신규 펀드(에스비넥스트미디어이노베이션펀드)를 조성을 알린 바 있다. 여기에 네이버가 400억원을 투자한다. ‘코렐리아’ 유럽 투자 펀드도 있다. 네이버와 라인이 각각 5000만유로(약 620억원)씩, 총 1억유로를 출자했다.
<이대호 기자>ldhdd@ddaily.co.kr
[일문일답] CJ ENM "엠넷 30주년, 더 넓은 세계로 간다”…글로벌 전략은?
2025-04-15 19:20:07CJ ENM-애플TV+ 손잡는다…글로벌 음악 경연 프로그램 제작
2025-04-15 18:46:26참여연대 "불법 영업한 전광훈 알뜰폰, 사업자등록 취소해야"
2025-04-15 18:10:01CJ ENM·엠넷, 올해 30주년…‘글로벌 삼각 전략’ 본격 가동
2025-04-15 18:08:58영풍전자도 실적 악화, 작년 매출 전년비 60% 감소… 영풍그룹 주요 계열사들 '난국'
2025-04-15 17:5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