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D 시청 가구당 월 158분…본방 다음날 가장 많이 시청
[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10일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최성준)이 발표한 고정형TV 주문형비디오(VOD) 프로그램의 시청기록에 대한 시범조사 결과 가구당 월평균 158분, 개인당 월평균 97분의 VOD를 시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7월부터 연말까지 6개월간 전국 2600가구에 거주하는 만 4세 이상 8000여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방송 채널을 통해 실시간으로 방영한 프로그램 중 유료방송 플랫폼으로 제공된 VOD프로그램 시청기록을 피플미터를 이용해 조사했다.
조사기간 동안 VOD프로그램을 시청한 시간은 가구당 월평균 158분(일평균 5.15분), 개인당 월평균 97분(일평균 3.15분)이었는데 VOD 시청이 가능한 가구의 65%가 VOD를 시청했다. 특히, 본방일 다음날(28.2%)에 가장 많이 시청했으며 겨울철(12월)로 갈수록 시청시간이 증가했다.
성별로는 여자(58.0%)가 남자(42.0%)보다 더 많이 시청했으며 연령별로는 40대(25.7%), 50대(19.8%), 30대(16.5%), 60대 이상(14.3%) 순이었다. 사업자 그룹별로는 지상파(63.6%)를 가장 많이 시청했고 CJ계열 PP(17.8%), 종합편성(17.5%), 지상파계열PP(0.7%) 순으로 나타났다. 지상파는 드라마 장르, 종합편성과 CJ계열 PP는 오락 장르의 VOD가 많이 소비됐다. 지상파와 CJ계열 PP는 40대, 종합편성은 50대에서 많이 시청했다.
장르별로는 오락이 54.2%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어 드라마(38.9%), 정보·보도(6.4%), 어린이(0.3%)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이외 지역의 시청이 더 높았다.
실시간 방송과 비교하면 실시간은 오락-보도-드라마, VOD는 오락-드라마-정보 순으로 시청률이 높았다.
방통위는 “시범조사 기간이 6개월 정도이기는 하지만 나름대로 VOD프로그램에 대한 다양한 시청행태를 파악할 수 있었다”며 “조사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올해에는 조사대상 가구와 기간을 확대해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농협금융, "녹색금융 전략 강화"…ESG추진협의회 개최
2025-05-11 11:20:08하나은행, 금융·여가 연계한 디지털 금융사업 추진…놀유니버스와 맞손
2025-05-11 11:18:45"北 IT 노동자 위장 취업, 모든 기업의 문제"…피해 규모는 '물음표'
2025-05-11 10:24:06SKT, '유심 교체' 대신 '유심 재설정' 도입…"티머니·금융인증서 교체 필요 X"
2025-05-11 10:00:08[DD 주간브리핑] 역대급 얇은 '갤럭시S25 엣지' 공개…대선 후보들 AI 공약 쏟아내
2025-05-11 1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