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700MHz 논란
- 700MHz 통신 할당 흔들기 도 넘어…국회, 국가 경쟁력 차원 고심 필요
정부와 통신사가 700MHz 주파수를 통신이 써야 한다는 근거는 날로 증가하는 데이터 사용량을 해결하기 위해서다. 3세대(3G) 이동통신에서 4세대(4G) 이동통신으로 일반폰에서 스마트폰으로 통신 이용 행태가 변하며 데이터 사용량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다. 4년 전 대비 1인당 데이터 사용량은 500배 증가했다.
주파수를 둘러싼 논란은 일반 국민에겐 쉽지 않은 주제다. 방송은 곧 언론이기도 하다. 방송 뉴스를 통해 당위성을 주장하면 그러려니 하기 쉽다. 그러나 이 문제는 그리 넘어갈 사안은 아니다. 삶의 질과 직결된다. 주파수 용도는 한 번 정하면 함부로 바꾸기 어렵다. 유한한 자원이기 때문이다.
국제적 흐름은 어떨까. 700MHz를 UHD에 할당하려는 것은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다. 세계 최초가 다 좋은 것은 아니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나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는 700MHz를 통신용으로 권장하고 있다. 이웃나라와 전파 혼선에 따른 문제나 세계 표준에서 벗어나 생기는 차별 등 세계 최초 지상파 UHD 방송을 위해 희생해야 할 갈등과 비용은 만만치 않다. 그러나 방송사는 다르다. 독자적 방송 방법이 있을 경우와 없을 경우 입지는 매우 다르다. 주파수가 없으면 이들 역시 방송채널사업자(PP) 중 1개사로 전락할 위험이 있다.
이동통신 이용자는 전체 인구를 넘었다. 주파수가 부족하면 무선 통신은 품질이 떨어진다. 전 국민이 피해자가 되는 동시에 최강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성장해 온 ICT산업 전반이 흔들린다. 사물인터넷(IoT)이나 ICT융복합 등 통신의 중요성은 미래 사회 더 커지면 커지지 줄어들지 않는다.
여야가 한 목소리를 낼 사안은 이런 것이 아니다. 정부가 결정권을 갖고 있지만 여론의 목소리에 충분히 귀를 기울여야 할 것도 이런 것은 아니다. 무엇이 국가 경쟁력과 국민을 위한 것인지 답은 이미 나와있다.
<윤상호 기자>crow@ddaily.co.kr
이복현 "은행권 가산금리 추이 점검"… 금리인하 따른 가계대출 확대엔 우려
2025-02-25 13:03:15IBK기업은행, 부당대출 은폐 의혹 논란… CEO 제재 첫 사례될까 '촉각'
2025-02-25 11:28:09고려아연, 2025년 제1차 '지속가능경영추진위' 개최
2025-02-25 11:22:21네이버페이, 농협은행과 맞손…"디지털 금융 생태계 확장"
2025-02-25 11:0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