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라인, 인도네시아·남미·중동서 가입자 크게 확대”
황인준 네이버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일본과 태국, 대만 등 라인이 메신저 중 현지 가입자 1위를 차지한 곳 외에 가입자 전망을 밝게 보는 지역으로 “인도네시아는 상당히 좋은 추이로 늘려나가고 있으며 남미의 멕시코와 콜롬비아에서도 강세다. 중동지역에서도 가입자가 크게 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네이버는 일본 라인컨퍼런스 행사를 통해 라인 가입자가 5억6000만명, 월이용자(MAU)가 1억7000만명 수준이라고 밝힌 바 있다. 30일 컨퍼런스콜에서도 국가별 라인 가입자를 공개하진 않았으나 1000만명 이상 다운로드수를 확보한 곳이 12개국이라고 전했다. 현재 MAU는 일본과 대만, 태국 3개국이 전체 50%가 넘는 수준을 차지하고 있다.
지역별 라인 매출 비중은 지난 3분기 일본이 75%, 나머지 지역이 25%를 기록했으나 이번 분기 일본 내 게임매출이 상승하면서 일본 비중이 80% 이하 수준으로 소폭 상승했다.
황 CFO는 라인 매출 가운데 게임과 스티커, 광고 비중에 대해 게임이 약 60%, 스티커가 약 20%, 광고가 12~13% 수준, 기타 매출이 나머지를 차지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지난 몇 분기간 매출 비중이 크게 바뀌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라인 수익성 관련해선 “라인이 올해 흑자로 전환했다”며 “일본의 경우 이미 높은 수익성을 만들고 있다. 그 밖의 지역에선 적자를 보고 있다. 전체 라인 계열을 보면 수익성은 크게 개선됐다. 매출이 지속 상승함에 따라 수익성이 개선될 것”이라고 황 CFO는 전망했다.
황 CFO는 또 앞서 발표한 라인 신규 사업 출시 일정에 대해 “연내 결제(페이)와 택시 서비스 출시를 전제로 준비 중”이라며 “세부내용은 출시 시점에 따로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국내 광고 부문에선 전년동기대비 검색광고(SA)가 15%, 디스플레이광고(DA)가 7% 성장했다. PC플랫폼에서 전체적 쿼리 감소추세지만 어느 정도 매출은 꾸준히 유지하는 가운데 모바일 비중이 크게 늘면서 성장했다는 게 황 CFO의 설명이다.
황 CFO는 4분기 영업비용 전망에 대해 “광고선전비가 3분기에서 조금 더 증가하는 정도로 다른 비용들은 별다른 차이가 없을 거 같다”고 말했다. 지난 3분기 영업이용은 5110억원이다.
한편 네이버는 2014년 3분기 영업수익(매출) 7000억원, 영업이익 1890억원, 계속영업순이익 1431억원을 달성했다. 전년동기대비 매출 22.3%, 영업이익 88.0%, 계속영업순이익 92.3% 각각 증가했다.
3분기 네이버 해외 매출 비중은 라인의 성장에 힘입어 전년동기대비 52.0% 성장한 2308억원을 달성했다. 전체 33% 비중이다. 이 중 라인 매출은 2085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57.1%, 전분기 대비로는 13.8% 성장했다.
<이대호 기자>ldhdd@ddaily.co.kr
우리금융, 항공우주산업 육성에 2조원 지원…기보·KAI 등과 다자간 MOU
2025-05-11 09:32:58[IT클로즈업] IPO 달리는 메가존·베스핀, ‘AI기업’ 증명할까?
2025-05-11 09:00:20공정위, LTV 담합 의혹 관련 4대 은행 제재 착수…소송전 번지나
2025-05-11 06:48:19대선판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K-스테이블코인'… 이준석 직격에 민주당 '발끈'
2025-05-11 06:47:44[현장]“어르신, 온라인 예약 하셨어요?”...SKT 유심교체 방문해보니
2025-05-10 07:0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