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 Apps] 앱 권한설정으로 개인정보 유출 막자
[디지털데일리 이민형기자]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오랫동안 사용한 사람들은 몇몇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업데이트할 때 고개를 갸웃거린적이 있을 것이다.
“이 애플리케이션이 왜 이런 권한을 요구할까?”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 단순한 기능의 앱인데, 해당 앱은 사용자 연락처, 문자메시지, 위치정보 등을 수집한다면 분명 의아하게 생각할 수 밖에 없다.
지난 2011년 국내 한 스마트폰 제조업체가 기본탑재된 앱에 과도한 권한을 부여해 논란이 되기도 했는데, 안드로이드 특성 상 한번 설치된 앱은 그 권한을 통제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을 공격자들이 활용하고 있다.
실제 시만텍 조사에 따르면 구글 플레이에 등록된 무료 안드로이드 앱 중 4개 중 1개는 악성 애드웨어로 나타났다. 악성 애드웨어는 사용자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개인정보를 탈취할 수 있는 앱 들을 뜻한다.
이러한 앱들을 아예 사용하지 않는게 제일 좋지만, 그것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설치된 앱의 권한을 재설정하는 등의 방법을 생각해야 한다.
이를 위한 ‘App Ops Starter’라는 앱이 있다. 이 앱은 루팅(rooting) 없이도 설치된 앱의 권한을 변경할 수 있다.
해당 앱을 실행하면 스마트폰에 설치된 모든 앱의 목록이 나온다. 거기에서 권한을 재설정하고 싶은 앱을 선택하면 어떤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를 한 눈에 볼 수 있다.
거기서 ‘불필요한 권한’이라고 판단되는 권한을 ‘꺼(off)’ 버리면, 그 다음부터 그 앱이 실행될 때는 꺼버린 권한이 삭제된 체로 실행되게 된다.
적자폭 줄인 티맵모빌리티, 우티 이어 전동킥보드도 접는다
2025-02-25 17:48:34SK스퀘어, 작년 영업익 3조9126억원 ‘사상최대’...매출은 전년比 16.2%↓
2025-02-25 17:29:51[DD퇴근길] "오픈AI 올라타자"…韓 AI 동맹전선 윤곽 언제쯤?
2025-02-25 17:28:05통신 이용자정보 조회도 ‘영장주의’...국회 여야 평행선에 논의 ‘답보’
2025-02-25 16:51:20조국혁신당 ‘디지털권 보장’ 정책 제안…“‘개인정보 대시보드’로 이용자 보호 강화”
2025-02-25 16:49:53